언론진흥재단(547)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0월 5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지난 한 주 동안 다독다독 독자 여러분은 어떤 책들을 읽으셨나요? 이번 주엔 어떤 책을 읽을지 혹시 고민되시나요? 새로 나온 책 중에서 가장 주목받은 세권을 소개해드릴게요~ 1위는 소박하고 겸손한 도구이자 그 안에 무한한 가능성과 기회를 담고 있는 문구들을 재조명한 “문구의 모험”, 2위는 지금까지 우리가 오해했거나 잘 몰랐던 뼈에 대한 이야기를 한 권에 담은 “뼈가 들려준 이야기”, 3위는 인류의 위대한 업적이자 그 자체로 많은 역사를 담아내는 도시를 탐사하는 “도시의 탄생”입니다. 1위 : 문구의 모험 (당신이 사랑한 문구의 파란만장한 연대기) 제임스 워드 지음 | 어크로스 | 2015년 10월 21일 출간 은 이 작지만 위대한 물건들의 세계를 탐사..
2015.10.27 -
집단 속에 사라져가는 나를 찾아서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EBS 교육다큐부 PD 남내원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여기 한 장의 사진이 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의 무표정한 얼굴. 그 속에 드리워진 삶의 고단함과 광기의 그림자. 히틀러에 열광했던 군중속에서 얼굴을 찌푸린 채 팔짱을 낀 단 한 사람. 이 사람 앞에 펼쳐졌을 비극적 운명을 예감함과 동시에 “이 사람은 왜 손을 들지 않았을까?”라는 강한 호기심이 생겨났습니다. 어쩌면 팔짱을 끼고 있는 이 단 한 사람의 이야기야말로 ‘우리 We’의 전체 이야기를 관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것은 우리 속의 나에 관한 이야기였고, 나일 수도 있었던 나의 이야기이기도 했습니다. 우리에게 ‘우리’는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 이야기 ‘나’의 이야기 추상적이고 이중적인 ‘우리’의..
2015.10.26 -
“독한 소리” 그만 찾고 “맘 편하게 두뇌 풀가동” 하기
입에 쓴 약은 그냥 쓸 뿐이다? 생각을 멈춘 뇌의 위험 “정신차려, 그 따위로 살아서 될 것 같아?” 누군가 이렇게 고함을 친다면, 듣는 사람은 당연히 기분이 나쁘고 반발하게 마련입니다. 그런데 요즘 텔레비전 종편방송이나 인터넷 커뮤니티, 서점을 보면 이런 거칠고 쓴 독한 소리가 각광받는 풍경을 쉽게 볼 수 있지요. 심지어는 독한 소리 했다고 감사 인사까지 받고 있습니다. 인터넷 강사, 멘토, 작가, 방송인, 등. 너도 나도 나와서 고함을 치고 사람들에게 똑바로 살지 못한다고 지적합니다. “쾌도난마”, “직설”, “독설”, “쎈 언니”, “돌직구 오빠”, “천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아픈 만큼 청춘이다”, “미쳐야 산다” 등등…… 짐수레 끄는 말이나 소에게 채찍질 가하듯 훈계하는 사람들이 멘토로 ..
2015.10.26 -
미디어 리터러시 시대, 2015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들여다보기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과장대우 민원찬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난 2009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제7회를 맞이한 ‘미디어교육 전국대회’는 미디어교육 교사와 전문 강사들, 장학사 및 언론사 관계자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대규모 행사입니다. 올해 미디어교육 전국대회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많은 초점을 두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말 그대로 미디어를 해독하는 능력입니다.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도 점차 손쉬워지면서 정보가 말 그대로 여기저기 흘러 넘쳐나고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이렇게 흘러넘치는 정보속에서 좋은 정보와 나쁜 정보, 좋은 미디어와 나쁜 미디어를 구분하는 것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능력입니다. 또한 습득한 정보를 토대로 비판적, 창조적으로 사고할 ..
2015.10.23 -
나는 지금 행복한가?_토닥토닥 101가지 이야기
누군가가 저에게 당신의 삶의 목적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전 1초도 고민하지 않고 “행복”이라고 대답할 겁니다. 물론, 저 뿐만이 아닌 현재를 살아가는 대다수 사람들의 삶의 목적은 행복 자체일 테니까요. 그래서 어쩌면 저도 인생에서 더 나은 행복을 찾아 계속 이 책 저 책들을 두리번거리고 있는 것 같네요. 행복에 관련된 책을 찾아 읽다 보면, 많은 학자들이 자신만의 행복론을 내세웁니다만, 사실 행복이란게 공부해서 익히는 이론도, 배울 수 있는 기술은 더욱 아니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 포기하지 말고, 한번 찾아보려 합니다. “앞으로의 행복과 불행은 전적으로 당신에게 달려있다.”상반기 베스트셀러 를 통해 국내에 아들러 심리학 열풍이 일고 있는데요. 그 주인공인..
2015.10.23 -
내가 누군지, 여긴 어딘지, 우리 안의 무기력 마주하기
네이버 검색창에 ‘무기력’을 검색해 보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무기력을 호소하며 고민을 토로합니다. 10대 고등학생부터 40대 가장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무기력에 고통 받고 있다는 사실을 멀리서나마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도 가장 빛나는 시간을 보낼 것으로 생각했던 20살에 무기력을 겪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항상 해야 할 일이 있었던 지난 3년간의 수험생활을 뒤로 하고, 갑자기 많아진 시간과 자유를 주체하지 못해 방황하곤 했습니다. 당시 저는 무엇을 해야할지 우왕좌왕하며 오로지 집에서 잠만 자곤 했습니다. 해야 할 일도 자꾸 미루며 어영부영 해치웠고, 이러한 행동은 대학교에 입학해서도 변하지 않았습니다. 결국은 대학교 1학년 내내, 다시 돌아오지 않을 그 소중한 시간..
201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