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책 미디어교육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뉴스 다독다독 미디어 스마트폰 이벤트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나를 일깨우는 한 문장

    2015.05.20
  • ‘공유’라는 ‘문패’는 적합한 걸까?

    2015.05.20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5월 2주)-서점가는 여전히 공부 중? 자기계발서나 공부법 같은 비문학 인기.

    2015.05.19
  • 디지털 시대 플랫폼 환경 변화와 뉴스 전략

    2015.05.18
  • 필경 작업의 의한 중세 유럽의 성서 코덱스 출판

    2015.05.18
  • 편집의 첫걸음은 분류다

    2015.05.14
나를 일깨우는 한 문장

비우고 채우고 다시 텅 비우는 과정 속에서 유한한 생은 알알이 익어갑니다. 호젓이 떠난 남쪽바다 올레길 키오스크에 쓰인 한 줄의 문장이 내내 입안에 맴돕니다. 그가 보내온 이메일 속 고백 한 줄기가 장편소설 한 권보다 가슴을 찌릅니다. 삶의 산책길 주변에 많은 잠언과 금과옥조의 경구들이 흩어져있습니다. 한나절 지치도록 자전거 페달을 밟아 강줄기가 드디어 바다로 진입하는 지점에 이르렀습니다. 느티나무 그늘 아래 나무벤치. 신록의 바람 한 줄기가 이마를 어루만지듯 내 삶을 다독거려줄 아포리즘 문장들을 편집했습니다. 한 문장이 영혼을 흔들고 결국 나는 한 문장으로 남습니다. 엄마는 나를 오프라 윈프리로 부르곤 했다. ㅡ 노숙자의 딸로서 하버드대학에 입학한 카디자 윌리엄스 "노숙자 주제에 대학은 꿈도 꾸지 마라..

2015. 5. 20. 14:00
‘공유’라는 ‘문패’는 적합한 걸까?

우버는 공유경제 나무에서 자란 열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을 중개하는 ‘우버’의 국내 진출 논란과 공유경제에 대해서는 에서 작년 말부터 2~3회에 걸쳐 다뤘습니다. 2013년 8월 우리나라에도 도입된 ‘우버 택시’가 올 3월에 운행 중단되었다는 뉴스가 우버에 관한 마지막 소식이었죠. 을 비롯해 많은 언론이 우버에 주목해왔던 이유는 단순히 국제적인 택시 서비스가 국내에서 퇴출되었다는 사실 때문이 아닙니다. 우버는 공유경제의 토양에서 자란 열매에 불과하니까요. 플랫폼 개념과 실시간 디지털 네트워크의 결합 지금까지 이 소개한 공유경제의 특징에 대해 한 번 정리해 볼까요? “소유하지 않고도 사용한다”는 모토를 내건 공유경제는 개방‧협력‧참여 등 이름만 들어도 근사한 가치를 지향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통합니다..

2015. 5. 20. 09:00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5월 2주)-서점가는 여전히 공부 중? 자기계발서나 공부법 같은 비문학 인기.

이번 주 베스트셀러는 지난주와 비슷한 차트를 보여줍니다. 12주 연속 선두를 달리는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와 그 뒤를 잇는 채사장의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야마구치 마유의 『7번 읽기 공부법』등 인문서와 자기계발서와 같은 비문학이 인기를 끕니다. 종합 3위에 오른 신영복 교수의 생생한 강의가 담겨있는 신간 『담론』은 지난주 보다 약 7계단이나 상승해 압도적인 상승세를 보여줍니다. 책은 신영복 교수의 강의를 녹취한 원고와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출간한 내용으로 『강의』 이후 만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훨씬 깊어진 논의와 풍부한 예화를 담아내 저자의 고도의 절제와 강건한 정신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담론』은 다양한 연령대의 남성 독자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교..

2015. 5. 19. 14:00
디지털 시대 플랫폼 환경 변화와 뉴스 전략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김익현 /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뉴욕타임스가 4월 초 흥미로운 선언을 했습니다. 스마트워치 시장의 기대주로 떠오르고 있는 애플워치를 겨냥해 ‘한 문장으로 된 뉴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뉴욕타임스는 이용자들이 애플워치에서 뉴스를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토리텔링을 개발했다는 설명까지 덧붙였습니다. 한 문장으로 된 기사는 정치, 경제, 과학 등 많은 섹션에 있는 뉴스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잘 정리해줍니다. 애플워치용 뉴스 제공 뉴욕타임스는 아예 4월 24일 애플워치 출시에 맞춰 모바일 앱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5월 11일부터는 모바일 앱인 ‘NYT 나우(NYTNOW)’를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2015. 5. 18. 14:00
필경 작업의 의한 중세 유럽의 성서 코덱스 출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 은 1327년 이탈리아 수도원을 배경으로 합니다. 이 소설은 당시 교황과 황제간의 권력 다툼, 교황과 프란체스코 수도회 사이의 논쟁, 제국과 교황에 양다리를 걸친 수도회의 입장, 수도원과 중세 도시의 갈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온통 저를 몰입시킨 것은 중세 수도원의 출판 과정이었습니다. 책의 형태를 띤 최초의 필사본, 코덱스(codex) 인쇄 기술이 개발되기 이전의 중세 유럽의 책과 출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이 씌어진 면들을 하나로 묶었다는 점에서 책의 형태를 띤 최초의 필사본인 코덱스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덱스 이전에는 주로 파피루스 두루마리나 밀랍판(蜜蠟板)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코덱스는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 두루..

2015. 5. 18. 09:00
편집의 첫걸음은 분류다

세상은 분류의 역사입니다. 너와 나, 아군과 적군,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산맥과 평야, 우기와 건기, 동양과 서양, 문관과 무관, 시장경제와 계획경제, 고대 중세 근현대, 선진국과 후진국, 민주주의와 세습독재... 인류 문명의 모든 것이 분류의 흔적들입니다. 새 분류법은 옛 분류법을 대체합니다. 떠오르는 문명이란 새롭게 떠오르는 분류방식의 다른 이름입니다. 아날로그로 분류되던 현상들이 디지털 방식으로 분류되고 융합됩니다. 편집의 첫걸음은 분류입니다. 분류란 계통을 파악해 종류를 나누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편집 행위란 사건 발생 상황을 파악해 원인과 결과를 따져보고 해결 방법을 취사선택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상황을 편집하려면 계통을 따져봐야 합니다. 동일 계열끼리 모으고 이질적이거나 우연..

2015. 5. 14. 14:00
1 ··· 55 56 57 58 59 60 61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