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기자 미디어교육 공모전 뉴스 스마트폰 미디어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NIE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독서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IoT시대 왕서방은 누구인가

    2015.05.14
  • 스마트한 뉴스이용에 관한 유쾌한 수다 : KBS 톡! 콘서트 <뉴스사용설명서> 참관기

    2015.05.13
  • 블로그 글을 뉴스 기사 방식으로 쓰는 방법

    2015.05.08
  • 그림책 속 우리들의 아버지

    2015.05.08
  • 가족관계를 회복하는 대화의 기술

    2015.05.07
  • 나 자신과 마주하는 체험, 마크 로스코展

    2015.04.20
IoT시대 왕서방은 누구인가

인터넷에서 가장 오래 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자 아직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이메일입니다. 지금은 대부분 다음 한메일이나 네이버 같은 웹메일을 사용하고 있지만, 웹메일이 대중화 되기 전인 1990년대만 해도 이메일을 이용한 방법은 PC에 프로그램을 설치 해 각자가 설정 후 관리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퀄컴(Qualcomm)의 성장배경 이 시절 국내에서도 막 인터넷 이용이 늘어나고 있었는데, 이 때 가장 많이 이용한 이메일 프로그램은 '유도라(EUDORA)'였습니다. 하지만, 유도라는 국내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용자 사이에서 유도라 제작사인 A업체에게 메일을 보내 한글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자는 작은 운동이 일어났습..

2015. 5. 14. 09:00
스마트한 뉴스이용에 관한 유쾌한 수다 : KBS 톡! 콘서트 <뉴스사용설명서> 참관기

공짜 뉴스가 흔하게 쏟아지는 세상 뉴스는 흔합니다. 분신이나 다름없는 스마트폰만 열면 수돗물처럼 쉴 새 없이 쏟아지는 게 뉴스입니다. 그것도 거의 공짜로 말이죠. 저는 “리퍼트 미국대사 피습”이라는 짤막한 문장의 1보(사건이나 사고가 났을 때 첫 번째로 보도된 짤막한 기사)를 시간 강의를 하러 원주로 가는 통학버스 안에서 바로 볼 수 있었습니다. 포털의 실시간 뉴스 서비스 덕분이었죠. 예전 같으면 당일 석간이나 다음 날 조간신문, 또는 9시 뉴스까지 기다려야 제대로 된 뉴스를 볼 수 있었을 겁니다. 귀한 뉴스 감별해 줄 ‘뉴스 지침서’ 필요 뉴스는 귀합니다. 전례 없이 풍부한 뉴스를 빠르게 공기처럼 무의식적으로 흡입하지만 제대로 된 뉴스는 좀처럼 없는 것 같습니다. 뉴스다운 뉴스가 점점 줄어드는 것도 원..

2015. 5. 13. 08:47
블로그 글을 뉴스 기사 방식으로 쓰는 방법

블로그의 글 또는 콘텐츠를 뉴스처럼 작성하는 방법은 글을 읽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자유로운 블로그 글의 스타일에 뉴스 기사 방식을 결합하면 새로운 글의 스타일이 출현합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려면 뉴스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방송이나 신문에서 제공되는 뉴스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합니다. 보도 기사, 르포 기사, 인터뷰 기사, 의견 기사입니다. 보도 기사는 스트레이트(straight) 기사라고 해서 육하원칙에 따라 객관적으로 사건이나 내용을 전달하는 기사입니다. 르포 기사는 사건 또는 행사가 벌어지는 현장을 스케치하듯이 설명하는 기사입니다. 인터뷰 기사는 대상 인물을 취재하여 그가 이야기하는 것을 중심으로 작성되는 기사입니다. 의견 기사(해설 기사)..

2015. 5. 8. 14:00
그림책 속 우리들의 아버지

“이리와. 아빠랑 놀자.” “싫어!” “아빠는 하루 종일 우리 딸 보고 싶었는데, 아빠한테 와 봐.” “싫어! 엄마한테 딱 달라붙어 있을거야!” 종종 벌어지는 저희집 부녀간의 대화입니다. 밖에서 일을 하고 돌아온 아빠는 딸아이가 다정하게 반겨주기를 기대하는데, 5살 딸아이는 내내 붙어있던 엄마가 더 편한 모양입니다. 처음에는 애들이 다 그렇지, 하고 말았는데 몇 번 반복이 되니 참 난감합니다. 제가 어디로 가든 아이들은 엄마인 저를 졸졸 따라다닙니다. 물론 가끔 아빠랑 ‘놀아주기도’ 하지요. 아빠가 싫은 건 아닙니다. 그저 1순위가 아닐 뿐이죠. 억울할 것도 같습니다. 하나뿐인 아내는 아이들에게 빼앗긴지 오래고, 아이들의 1순위는 늘 엄마입니다. 권위는 잃고 역할은 늘었습니다. 세상은 약육강식의 정글이고..

2015. 5. 8. 09:00
가족관계를 회복하는 대화의 기술

가정의 달인 5월이 되면 여러 가지 행사로 정신없는 한 달을 보내게 됩니다. 떨어져 지내 평소 소홀했던 가족의 안부가 새삼 중요해지는가하면 부모님의 건강에서부터 조카들의 학교생활까지 그 동안 신경 쓰지 못했던 일들을 챙기게 되는데요. 가족이라는 이유로 남들보다 더 무신경하게 대했거나 가족이라는 이유로 사생활을 더 침해하려고 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가족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떤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생각해볼까 합니다. 서서히 변해가는 가족의 형태 현대사회에서 찾아보기 힘든 대가족의 형태는 부부와 미혼의 자녀만으로 구성된 핵가족으로 대체되고 이제는 자녀 없이 부부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형태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령화 현상이나 결혼을 하지 않는 미혼인이 많아지면서 1인가구가 늘어나..

2015. 5. 7. 14:00
나 자신과 마주하는 체험, 마크 로스코展

그림 속에 녹아있는 화가들의 삶은 작품 감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멕시코의 여성화가 프리다 칼로는 교통사고로 얻은 후유증으로 외로움과 고통 속에서 혼자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주체인 자화상을 많이 그렸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에드바르트 뭉크는 어린 시절 겪은 연이은 가족의 죽음으로 공포가 작품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대체로 화가가 살아오면서 받은 영향이나 주체가 그림에 투영되곤 하는데 반대로 화가의 생보다는 감상하는 이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는 화가가 있습니다. 그림의 한계를 넘어서기 올 6월 28일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리는 마크 로스코 전은 일반적으로 작품을 보러 가는 게 아닌 회화와 직접 대면하고 관람자 자신과 마주하는 만남을 체험하게 됩니다. 현대의..

2015. 4. 20. 14:00
1 ··· 56 57 58 59 60 61 62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