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기자 공모전 책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미디어교육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한류와 만난 한국 언론, 세계 속 위상은?

    2014.04.16
  • [이벤트 종료]SBS 아이러브'인' 현장으로 초대합니다!

    2014.04.14
  • 점점 커지는 등잔 밑을 밝혀주는 신문읽기

    2014.04.10
  • ‘여적(餘滴)’을 읽으며 설렘과 만나다.

    2014.04.09
  • 모바일 뉴스 큐레이팅 시대, 한국형 모바일 뉴스의 현주소는?

    2014.04.09
  • 고소하고 영양가 가득한 우리집의 영양간식은?

    2014.03.05
한류와 만난 한국 언론, 세계 속 위상은?

이미지 출처/ pixabay by tpsdave 최근 3~4년 사이 한국 언론이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죠. 특히 해외 현지의 업체가 한국 매체나 대행사로부터 콘텐츠를 받고 제작하는 지금까지의 관행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매거진을 직접 발행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해외로 진출하는 한국 언론을 뒷받침해주는 정부도 예산 지원에 팔을 걷고 나서면서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죠. 이번에는 해외로 나가는 한국 언론의 현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로 진출한 한국 언론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서 해외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우선 신문 자체로 진출한 경우가 있는데요. 종합일간지에서는 서울신문이 가장 적극적입니..

2014. 4. 16. 11:13
[이벤트 종료]SBS 아이러브'인' 현장으로 초대합니다!

세계 최고의 명사들이 여러분의 멘토가 되어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는 아이러브’人’(나의 재발견 그리고 독讀한습관)!! 세계 최고의 명사, 국내 최고의 뮤지션들이 함께 나누는 지식나눔의 즐거운 향연 SBS 지식나눔콘서트 아이러브’人’의 다섯 번째 시즌이 시작됐습니다. 읽기문화를 선도하고 읽기를 통해 삶의 길과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다독다독과 아이러브’人’이 만나 여러분의 청춘과 행복 그리고 올바른 삶의 방향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만들고자 합니다. 인생 최고의 강의가 될 지식나눔콘서트 아이러브’人’을 직접 방청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지금 바로 신청하셔서 최고의 명사들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2014. 4. 14. 09:00
점점 커지는 등잔 밑을 밝혀주는 신문읽기

누구나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지구 반대편 자넷 옐런 FRB의장이 비둘기파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세상입니다. 말 그대로 지구촌 세상. 분명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우리에게 많은 혜택을 주었죠. 10년 전만 해도 공상과학이던, 외지에 있는 지인과의 화상통화는 엄연한 일상이 되었으니까요. 쏟아지는 지구촌 소식만큼이나 세계로, 미래로 나아가자는 야심에 찬 사회 분위기. 이 속에서 저는 지구를 품기에 스스로 좀 작다고 느낍니다. 사실이 그렇지 않을까요? 정부는 96년부터 도로명주소의 사용을 결정했고 2007년부터 사용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도로명주소가 법정주소로서 효력이 강제되기 시작한 2014년이죠. 사람들은 무려 18년간 침묵하다 이제야 불만을 표출합니다. 저도 그 사람 중 하나죠. 정부가 정보를 통..

2014. 4. 10. 13:29
‘여적(餘滴)’을 읽으며 설렘과 만나다.

매일 아침, 신문을 펴들어 제일 먼저 확인하는 지면이 있습니다. 전 신문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오피니언’ 면이 참 좋더군요. 그 중에서도 눈여겨보는 코너가 있으니, 바로 경향신문의 ‘여적’입니다. 여적(餘滴)이란 한자는 남을 '여', 물방울 '적'자라고 해요. 무슨 일이 끝난 다음의 남은 이야기란 뜻이라네요. 여기에선 경향신문의 논설위원들이 쓴 단평(短評)들을 볼 수 있어요. 소개하는 김에 여적에 나왔던 몇 구절을 옮겨 볼까요. “세상에는 수만금의 부(富)로도 결코 살 수 없는 행복이 있는 법이다. 밥 한 공기, 간장 한 종지뿐인 걸인의 밥상을 왕후(王侯)의 성찬으로 누리는 김소운의 수필 ‘가난한 날의 행복’이 그런 경우다” 이 글을 읽었을 당시가 딱 대학교 2학년 때쯤이었을 거예요. 고등학교에 입학할 ..

2014. 4. 9. 17:05
모바일 뉴스 큐레이팅 시대, 한국형 모바일 뉴스의 현주소는?

▲ 출처_페이스북 페이퍼 사이트 최근에는 신문을 보는 사람보다 모바일로 뉴스를 보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간편하게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전통 미디어인 신문, 잡지 등이 고전적인 방법으로 계속 발전보다는 유지하는 사이 다양한 SNS 매체에서는 이용자의 관심사, 랭킹 알고리즘 등을 활용해서 ‘읽기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그래서 ‘소셜 리딩(social reading)’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탄생시켰죠. 이렇게 태어난 미디어들이 대부분 외국에서 만들어진 매체를 활용하고 있답니다. 이용자와 친숙하면서 모바일로 뉴스를 쉽게 만날 수 있는 한국형 모바일 혁신이 절실한데요. 외국의 사례를 통해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모색해볼까요? ▲ 출처_페이스북 페이퍼,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아이툰스..

2014. 4. 9. 16:44
고소하고 영양가 가득한 우리집의 영양간식은?

내가 어렸을 때부터 지금까지 아침마다 우리 집 현관 앞에 배달되는 물건이 몇 번 바뀌었다. 처음에는 변비가 있는 엄마와 나를 위해 요구르트가, 좀 더 지나서는 아이들의 필수 영양식 우유가, 그 다음엔 아빠를 위한 신선한 녹즙이 배달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변함없이 아침마다 우리 집에 배달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신문이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거실 바닥에는 항상 신문이 펼쳐져 있었다. 정리 정돈을 좋아하는 엄마지만 이상하게 신문은 펼쳐 읽다가 그대로 둔 채여서 눈에 띄는 기사가 있으면 한 번씩 읽기 시작한 것이 초등학교 3학년 때였을 것이다. 처음에 광고나 엄마가 재미있다고 얘기해 주는 기사, 재미있는 한 컷 만화 보기로 시작한 나의 신문 읽기는 조금씩 늘어나서 이제는 신문의 1면부터 차례로 넘기며 훑..

2014. 3. 5. 14:48
1 ··· 218 219 220 221 222 223 224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