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교육 신문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책 스마트폰 독서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NIE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갑오경장 120주년에 되돌아본 우리나라의 자주 독립

    2014.01.07
  • 신문기사로 시대별 드라마 트렌드 살펴보니

    2014.01.03
  • 스마트폰 세대의 착한 읽기문화, ‘대학생읽기봉사단’

    2014.01.02
  • 우리가 생각하는 민주주의는 정말 민주적인 것일까?

    2014.01.02
  • “책이 아닌 사람을 읽어라”, 살아있는 도서관 리빙라이브러리

    2013.12.31
  • 최희준에서 엑소까지, 시대별로 알아본 ‘응답하라 가요시상식’

    2013.12.31
갑오경장 120주년에 되돌아본 우리나라의 자주 독립

올해는 갑오경장이 있은 지 120주년 되는 해라고 합니다. 자주적으로 개혁을 이뤄내지 못하고 결국 식민 통치에 무릎 꿇어야 했던 역사를 다시 한 번 상기하게 되는데요. (역사비평사)이란 책을 보면 그런 치욕을 겪으면서도 비록 대놓고 표현은 못했지만, 조선 사람들은 쉽게 마음 속 깊이까지 쉬이 굴복하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출처 - 교보문고] 식민지 조선에서 전국의 수재들이 모였다는, 오늘날 경기고의 전신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다녔던 강상규라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1937년 4월22일 그는 일본인 유람객으로 가득 찬 창경원을 둘러보고 이런 일기를 씁니다. “아아, 가련하도다. 무궁화동산이여. 금잔디에 개똥과 말똥만 수북이 쌓여 있다. 이 오물을 누가 청소해 줄 것인가.” 강상규는 일본인의 정치를 ‘원숭이..

2014. 1. 7. 10:27
신문기사로 시대별 드라마 트렌드 살펴보니

짜릿한 복수극에 희열을, 이어지지 않는 남녀의 사랑에 눈물을 자아내는 것. 바로 드라마입니다. 2013년에도 수많은 드라마가 우리를 울고 웃게 만들었는데요. 과거엔 어떤 드라마가 우리와 함께 했을까요? 기사로 알아보는 시대별 드라마! 함께 보시죠. 1970년대 - 시대를 반영한 드라마 [출처 - 네이버 영화] 유신과 긴급조치로 상징되는 1970년대는 개인의 희생을 미화하거나 봉건적 사회질서를 담은 드라마가 많았습니다. 이때는 지상파 방송 3사의 연속극 경쟁시대이기도 했는데요. ‘오염되는 안방윤리’라는 제목으로 그 당시 드라마에 따끔한 지적을 한 기사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旅路(여로)」(KBS·TV 일일극) 부녀자나 어린이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이 연속극은 불구자식의 바보스런 모습이 우습기는 하나 이러한 ..

2014. 1. 3. 10:59
스마트폰 세대의 착한 읽기문화, ‘대학생읽기봉사단’

작년 12월 27일,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대학생읽기봉사단 1기의 결과발표회가 열렸습니다. 대학생읽기봉사단은 멘토로 뽑힌 대학생이 자신의 멘티에게 신문, 책 읽기를 권장하기 위한 멘토링 교육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올해 처음 만든 프로그램인데요. '대학생 읽기봉사단'에 참여한 청소년의 일일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72분에서 42분으로 감소하고, 읽기 시간은 24분에서 60분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결과발표회는 5개월 동안 진행된 읽기봉사 활동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읽기봉사단 멘토와 멘티, 그리고 그 가족들이 함께 해 더욱 따뜻하고 즐거웠던 결과보고회 현장을 다독다독이 담아왔습니다. 웃음 가득했던 읽기봉사단 결과 발표회 이날 오후 4시 반부터 시작되었던 결과발..

2014. 1. 2. 13:49
우리가 생각하는 민주주의는 정말 민주적인 것일까?

민주주의란 무엇일까요? 이런 심각한 질문을 던져 보는 경우는 흔치 않을 겁니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민주주의가 좋은 것이란 점에는 대부분 동의하실테지만,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를 자세하게 생각해 보진 않습니다. 흔히 민주주의가 뭐냐고 물으면, “다수결의 원칙 아냐?” 혹은 “투표로 대표를 뽑거나 중요한 사안을 결정하는 거 아냐?” 하는 말씀들을 하실 겁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를 상상해 보십시오. 어떤 교회에서 새 목사를 뽑는데 그 교회의 신도 중 가장 부유한 일가가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두 후보만이 선거에 나올 수 있도록 손을 썼다면, 그건 민주주의라 할 수 있을까요? 돌이켜 보면 우리가 “과연 이게 민주주의인가”하고 의심을 품게 되는 경우는 수없이 많습니다. (돌베개)는 역사상 최초의 민주주의라 일컬어지는..

2014. 1. 2. 10:42
“책이 아닌 사람을 읽어라”, 살아있는 도서관 리빙라이브러리

많은 사람들이 롤모델을 만나기 위해 서점에서 베스트셀러를 찾곤 합니다.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들의 자서전과 자기개발서적을 읽으며 꿈을 키우곤 하는데요. 이제는 책이 아닌 사람을 직접 만나 이야기하는 ‘살아있는 도서관’이 대세라고 합니다. 올해 10월 28일 대전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에서 리빙라이브러리가 문을 열었습니다. “책 대신 사람을 빌리세요” 라는 슬로건을 걸고 사람책 신청을 받았는데요. 활자로 읽으며 삶을 배워왔던 방식이 아닌 직접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공했습니다. 아직은 생소하지만 꼭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살아있는 도서관으로 함께 가보시죠. 리빙라이브러리가 있는 사회적 자본지원센터 대전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는 출범한지 100일도 되지 않은 센터입니다. ‘사회적 자..

2013. 12. 31. 14:58
최희준에서 엑소까지, 시대별로 알아본 ‘응답하라 가요시상식’

우리에게 한 해가 저물어감을 알려주는 것들이 있죠. 잦아진 망년회, 얇아진 달력 그리고 방송사마다 앞 다투어 하는 연말 시상식일 텐데요. 한 해 동안 사랑받은 노래를 한 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가요 시상식은 다양한 우리의 눈과 귀를 사로잡죠. 과거 최희준부터, 지금의 엑소까지. 시대별로 알아본 가요 시상식 이모저모! 함께 보시죠! 1960년대-최초의 가요제 출연 우리나라 최초의 가요 시상식은 1965년 개최된 ‘TBC 방송가요대상’입니다. 이는 1964년 5월에 개최된 RSB 개국행사 제정 기념공연 후 이듬해 RSB가 TBC에 통합되며 ‘TBC 방송가요대상’ 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출처 - 주간한국] 방송가요상 후보작 결정 RSB '라디오·서울‘이 마련한 방송가요대상 제 1회 시상식은 오는 5..

2013. 12. 31. 11:23
1 ··· 220 221 222 223 224 225 226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