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스마트폰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뉴스 NIE 뉴스리터러시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포근하고 따뜻한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며

    2013.12.19
  • 영화 예고편? 이제는 책 예고편 '북 트레일러' 보고 가실게요

    2013.12.18
  • 세계 이주민의 날, 우리나라 이주노동자의 현주소는?

    2013.12.18
  • 세상에서 가장 우아한 취미, 당신만의 책 쓰기를 권하다!

    2013.12.17
  • 흑백화합을 이뤄낸 ‘넬슨 만델라’, 그를 추모하며

    2013.12.17
  • 가난은 죄가 없다, 인류학자와 기자가 바라본 빈민층의 삶

    2013.12.16
포근하고 따뜻한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며

어릴 적 크리스마스의 기억을 떠올리면 두 가지가 생각난다. 하나는 크리스마스 날 아침 머리 위에 놓여 있던 산타할아버지의 선물. 또 하나는 안방 침대에 누워서 동생과 함께 봤던 크리스마스 특집 만화 ‘스쿠루지 영감’과 영화 ‘나홀로 집에’다. 초등학교 1학년 때까지만 해도 나는 산타할아버지의 존재를 믿었다. 크리스마스이브 날이면 언제나 산타할아버지에게 선물을 달라며 카드를 썼고(물론 카드에 적힌 선물이 오지는 않았다), 밖에 나가 뛰어노는 것보다 이불 속에서 성탄절 특집 만화와 영화를 보는 것이 더 좋았다. 길을 걷다 문득 상점에서 흘러나오는 크리스마스 캐럴 송을 듣고 크리스마스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날로 집에 돌아가 찰스 디킨스의 소설 ‘크리스마스 캐럴’을 꺼내 들었다. 어릴 적에 ..

2013. 12. 19. 10:00
영화 예고편? 이제는 책 예고편 '북 트레일러' 보고 가실게요

‘트레일러(Trailer)’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나요? 흔히들 2~3분 길이의 영화 예고편 영상을 떠올릴 텐데요. 트레일러는 영화 내용 중 관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재미있는 장면과 자극적인 자막으로 구성됩니다. 관객은 트레일러를 보고 영화 관람 여부를 결정하곤 하죠. 그렇다면 독자가 도서를 고를 때는 무엇을 보고 판단해야 할까요? 대부분의 사람은 각자 기호에 맞는 책을 고르거나, 책표지에 적힌 요약 내용을 보고 선택하는 방법으로 책을 고르는데요. 이제는 책도 트레일러 영상을 보고 고를 수 있답니다. 바로 ‘북 트레일러’인데요. 오늘 다독다독에서는 출판물 시장에 불고 있는 북 트레일러 열풍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새로 출간된 책을 홍보하는 ‘북 트레일러’ 책(Book)과 예고편(Trailer)의 ..

2013. 12. 18. 13:05
세계 이주민의 날, 우리나라 이주노동자의 현주소는?

크리스마스를 일주일 앞둔 12월 18일, 오늘은 세계 이주민의 날입니다. 세계 이주민의 날은 2000년 12월 4일 UN 총회에서 지정한 날인데요. 이주노동자가 내국인과 동등한 권리를 가지는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는데요. 과연 우리나라에는 세계 이주민의 날을 맞아 어떤 행사를 진행하고 있을까요? [출처 - 조선일보] 아직은 어려운 이주노동자의 현실 [출처 - 뉴스1] 고용노동부가 지난 8월부터 시행 중인 고용허가제 내부 지침은 이주노동자들에게는 구인업체 명단을 주지 않고 사업주에게만 이주노동자의 명단을 주고 있다. 이 지침에 따라 이주노동자들은 구직을 위해 사업주의 연락을 기다려야만 한다. 일하기로 계약한 사업장을 무단이탈하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없..

2013. 12. 18. 08:00
세상에서 가장 우아한 취미, 당신만의 책 쓰기를 권하다!

삶을 바꾸는 책 쓰기 많은 이들의 꿈 목록을 들여다보면 공통되게 눈에 띄는 항목이 있습니다. ‘세계일주’가 맨 상단을 차지한다면 ‘내 책 쓰기’는 바로 그 아래 어디쯤을 차지하는 것 같습니다. 꼭 학창시절 문학소녀를 꿈꾸던 분이 아니라도 ‘내 책 쓰기’는 일생을 통해 이루고픈 매혹적인 도전임이 분명합니다. 최근엔 한 분야의 전문가나 소설가, 시인이 아니더라도 나만의 멋진 콘텐츠를 책으로 묶어 주목 받는 이들이 많아졌습니다. 책은 소설가나 시인만의 전유물이거나 사회적 성공을 거둔 이들의 은퇴 후 회고록이 전부라 여긴다면 오산입니다. 책은 누구나, 언제나 쓸 수 있습니다. 인생의 돌파구나 반전이 필요한 이들이라면 더욱 필요한 일이죠. 실제로 많은 이들이 자신만의 책을 쓴 뒤 인생의 변화와 기회를 맞이했다고 ..

2013. 12. 17. 13:01
흑백화합을 이뤄낸 ‘넬슨 만델라’, 그를 추모하며

나를 감싸고 있는 밤은온통 칠흑 같은 어둠나는 그 어떤 신이든, 그 신께 감사하노라내게 정복당하지 않는 영혼을 주셨음을. 영국 시인 윌리엄 어니스티 헨리의 ‘인빅터스(invictus·정복당하지 않는)’의 첫 부분인데요. 이 시는 반역죄로 27년이나 수감생활을 했던 만델라가 즐겨 낭송하고 동료에게 들려주었던 시입니다. [출처 - 서울신문] 남아프리카공화국 민주화의 상징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 흑백화합을 이뤄낸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이 12월5일(현지시간) 95세를 일기로 영면에 들었습니다. 그의 타계 소식에 전 세계인이 애도의 성명을 내비췄는데요. 제이콥 주마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은 “그가 평화 속에 잠들었다”며 “남아공의 위대한 아들을 잃었다”고 소식을 전했습니다. 반기문 UN 총장과 오바마 미국 대..

2013. 12. 17. 10:32
가난은 죄가 없다, 인류학자와 기자가 바라본 빈민층의 삶

‘가난은 나라님도 못 구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아무리 도와준다 하더라도 스스로 가난에서 벗어나려 노력하지 않으면 별 수 없다는 말이지요. ‘가난은 죄가 없다’고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가난에 편견을 갖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결국 개인의 무절제나 게으름 때문 아니겠냐는 겁니다. 일제 말기 경성제국대학이 펴낸 ‘토막민의 생활·위생’이라는 보고서도 그런 시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도시 빈민층을 ‘토막민’이라고 규정하면서, 일반인과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정말 가난한 사람들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걸까요? 읽는 내내 그런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은 두 책이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의 일상을 한 편의 영화처럼 세밀하게 다룬 두 책 (이..

2013. 12. 16. 13:08
1 ··· 223 224 225 226 227 228 229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