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책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공모전 뉴스 독서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3)

  • 어려운 ‘유교’이야기, 더 쉽게 다가가기

    2013.11.25
  • 가장 뜨거웠던 프로야구 FA 시장, 그 빛과 그림자

    2013.11.25
  • 뉴스 이해도 ‘2배’ 높여주는 시사만화의 과거와 미래

    2013.11.22
  • 블랙 컨슈머, 그들의 행동심리 알아보니

    2013.11.22
  • 서울의 모마(MoMA)를 꿈꾸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A to Z

    2013.11.21
  • 그 많던 무가지 신문은 어디로 갔을까?

    2013.11.21
어려운 ‘유교’이야기, 더 쉽게 다가가기

유교란 말만 들어도 고리타분하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갓 쓰고 상투 튼 두루마기 차림의 노인들이 충효니 삼강오륜이니 하면서 잔소리를 퍼붓는 이미지를 떠올리고는 인상을 찌푸리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가 망국의 한을 품게 된 것도 다 미개하고 뒤처진 유교사상에 젖어있었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이 땅에 서구문물이 들어온 지난 100년간 못나고 잘못되고 추레한 것 앞에는 으레 ‘유교적’이라는 말을 붙였습니다. 심지어 는 책이 불티나게 팔리기도 했지요. 하지만 오늘 소개해 드릴 책들을 읽으신다면 유교에 대한 이미지가 완전히 바뀌실 지도 모릅니다. 우선 배병삼 영산대 교수가 쓴 (녹색평론사)를 보시면 그간 우리가 비판해 온 유교는 오염됐거나 오해된 것이었음을 ..

2013. 11. 25. 13:31
가장 뜨거웠던 프로야구 FA 시장, 그 빛과 그림자

그야말로 '억' 소리가 날 만큼 뜨거웠다. 관심을 모았던 프로야구 FA 시장은 결국 몸값 총액 500억 원을 돌파하는 '돈 잔치'가 됐다. 선수 최고 몸값과 구단 최다 지출 기록도 올해 모두 깨졌다. 거물급 선수들의 이적이 한꺼번에 발생하면서 프로야구 판도가 완전히 뒤틀리고 있다. 이렇게나 판이 커진 FA 시장은 이제껏 없었다. 단 며칠 사이에 15명의 FA 선수들이 새 계약서에 도장을 찍었고, 무려 523억5000만원이라는 거금이 오갔다.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올해 FA 시장을 주도한 건 '최하위' 한화였다. 한화는 '국가대표 테이블 세터' 정근우(전 SK·4년 70억 원)와 이용규(전 KIA·4년 67억)를 한꺼번에 데려와 가장 눈에 띄는 전력 보강에 성공했다. [출처 - 서울신문] 한화는 17일..

2013. 11. 25. 10:32
뉴스 이해도 ‘2배’ 높여주는 시사만화의 과거와 미래

아침의 시작을 여는 뉴스. 하루에만 무려 수백 가지가 넘는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는데요. 이 많은 뉴스를 좀 더 손쉽게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글자가 빼곡히 적혀있는 뉴스 기사를 ‘만화’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네요. 다독다독에서는 『시사만화로 세상 읽기』의 저자로서 시사만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하신 광주매일신문 김진수 기자님의 이야기를 통해 ‘시사만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함께 시사만화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 [출처 - 한겨레 그림판] 사회 이슈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사만화 시사만화란 시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다루는 언론 보도의 한 형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신문을 구성하는 섹션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기사, 사진, 도표, 만화, 광고 등이 ..

2013. 11. 22. 13:07
블랙 컨슈머, 그들의 행동심리 알아보니

최근 몰상식한 승객이 남의 자리까지 차지해 비행기 이륙 시간을 1시간 정도 지연시킨 일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죠. 항공사 규정의 빈틈을 노린 뻔뻔한 억지였는데요. 결국 뉴스에까지 나게 되었습니다. [출처 - SBS] 우리나라 항공사들은 24개월 이하 유아에겐 비행기 요금을 받지 않습니다. 공짜로 탑승합니다. 만약 빈 자리가 많으면 요량 껏 옆 자리에 앉혀도 무관합니다. 그런데 자리가 없으면 엄마가 안고 타거나 따로 아기 바구니를 받아서 그 곳에 앉혀야 합니다. 그런데 이 승객에겐 이런 상식이 통하지 않았습니다. 여름 휴가철이라 비행기에 자리가 없었답니다. 당시 24개월이었던 해당 아기는 당연히 아이 엄마가 안고 가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남의 자리에 앉혀놓고 비켜주지를 않은 겁니다. 그 승객의 ..

2013. 11. 22. 10:36
서울의 모마(MoMA)를 꿈꾸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A to Z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이 지난 13일에 개관했습니다. 드디어 다른 여러 나라처럼 우리나라도 서울 도심 속에 한국의 현대미술을 대표할 만한 미술관이 생긴 것입니다. 공개되기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은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관은 개관 첫날 3900여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고 밝혔습니다. 문화생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날로 늘어나고, 특히 다가오는 겨울을 맞아 각종 전시가 기획되면서 이번 국립현대미술관 - 서울관 개관 소식은 많은 문화인에게 희소식입니다. 오늘은 개관을 맞아 5가지 주제로 전시를 준비한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의 전시 소식과 11월 가장 기대되는 전시회는 무엇인지 집중적으로 알아볼까 하는데요. 함께 보시죠. 11월 13일, 3900여명을 매료시킨 국립현대미술관 13일에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 소..

2013. 11. 21. 13:14
그 많던 무가지 신문은 어디로 갔을까?

5일 오전 7시 30분, 2호선과 6호선 환승역인 신당역에는 출근 및 등교하는 사람들로 어느 때처럼 붐빈다. 그러나 지하철 한 칸에 탄 80~90명의 사람들의 절반 이상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보고 있었다. 간혹 무가지를 보는 사람은 중장년층이 대부분이고, 젊은이층은 스마트폰 삼매경에 빠져있다. 아침마다 지하철 칸을 돌아다니며 신문을 수거해가든 사람의 모습도 예전에 비해 눈에 띄지 않았다. 지하철에 탄 한 20대 승객은 “아침에 복잡한 지하철에서 신문을 꺼내보기가 거추장스럽다”고 말했다. 아세아경제 2012-07-09 지하철 역 앞에서 나눠주는 무가지 신문을 들고 보는 사람들, 그리고 다 읽은 신문들을 수거하던 할아버지. 몇 년 전 만해도 출 퇴근 시간의 지하철 풍경이었는데요. 요즘엔 어찌된 일인지..

2013. 11. 21. 10:32
1 ···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29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