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공모전 책 기자 뉴스 독서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평범한 중학생, 신문에 푹 빠지게 만든 '신문 제작 체험'

    2013.08.27
  • 초등학생을 위한 올바른 독서법 길잡이

    2013.08.26
  • 그 동안 몰랐던 영자신문에 대한 오해와 편견

    2013.08.26
  • 여름의 끝자락, 여행을 자극하는 독특한 여행기

    2013.08.23
  • 틀리기 쉬운 맞춤법, 사이시옷이 붙은 원리는?

    2013.08.23
  • 여행 작가 손미나의 꿈을 키워준 ‘활자의 힘’

    2013.08.21
평범한 중학생, 신문에 푹 빠지게 만든 '신문 제작 체험'

초등학교, 그리고 중학교 1학년 때까지만 해도 신문은 내게 그다지 친숙한 존재가 아니었다. 신문은 그저 딱딱한 글자 천국, 또는 어른들만이 읽고 이해하는 아득한 세계 정도로만 생각했었다. 그런 나와 신문이 소중한 인연의 매듭을 지을 수 있었던 것은 중학교 1학년 6월에 가게 된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의 ‘신문 제작 체험’이었다. 담당 선생님의 권유로 친구들과 함께 가게 되었는데, 신문의 종류와 구성, 기사의 종류, 전반적인 신문 제작 과정 등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 가다 보니 신문은 멀찍이 떨어져 있는 어른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어느새 훌쩍 가까이 와 있는 새 친구가 되어 있었다. 마치 새 학년, 새 학기 때 새로운 친구를 맞이하는 듯 내 가슴은 작지만 큰 설렘으로 두근거렸다. 또 직접 신문 기사를 쓰기 위..

2013. 8. 27. 10:11
초등학생을 위한 올바른 독서법 길잡이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아이에게 어떻게 하면 책을 좀 더 많이 접하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학부모님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최근까지 큰 인기를 불러 모은 화제의 예능 프로그램 에서도 한동안 사람들의 입가에 오르내렸던 주제는 다름 아닌 김성주 씨의 아들 민국이의 독서습관이었죠. 실제 주부들이 많이 찾는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민국이의 독서습관에 관한 질문이 꼭 등장합니다. 어떻게 교육 시켰기에 아이가 틈만 나면 책을 펼쳐드는 지에서부터 독서로 다져진 민국이의 나이답지 않은 다양하고 깊이 있는 상식까지. 엄마들은 부러움 반 감탄 반으로 책벌레 민국이를 칭찬합니다. 독서를 일상 습관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한 권의 책을 읽어도 제대로 읽는 일! 특히 스펀지 같은 감성과..

2013. 8. 26. 13:58
그 동안 몰랐던 영자신문에 대한 오해와 편견

(코리아헤럴드 60주년 기념호에 실린 60년간의 주요 1면 모음) 지난 8월 15일은 필자가 소속되어 있는 (그리고 바로 이 칼럼에 자주 등장하는) 코리아헤럴드의 창간 60주년 기념일이었습니다. 네, 6주년도 아니고, 16주년도 아니고 60주년 맞습니다. 영자신문이 그렇게 오래 되었나, 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으실 텐데요, 더 중요한 것은 1953년 창간 이후 60년간 계속 발행되면서 쌓인 노하우와 전통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자신문 기자로 대부분의 직장생활을 해온 필자는 자부심과 더불어 책임감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오늘은 직접적인 영어신문 읽기의 요령에서 약간 벗어나지만 결국 영자신문을 읽는데 알아두면 좋을 주제를 다뤄보겠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영자신문 역사를 자세하게 설명할 생각은 아니니, 지금..

2013. 8. 26. 10:16
여름의 끝자락, 여행을 자극하는 독특한 여행기

여름 휴가철이 시작된지 벌써 한 달! 각종 고속도로는 극심한 교통체증을 앓고, 전국 해수욕장과 계곡은 사람들로 붐비지만 (나를 비롯해) 아직 휴가를 떠나지 못한 이들도 많다. 사정상 올여름 휴가는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 무더위가 두려워 휴가를 포기하고 방콕을 선택한 사람들, 휴가는 다녀왔지만 아직까지 그 달콤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들을 위해 집에서도 즐길 수 있는 독특한 여행기들을 모아봤다. 1. 헤밍웨이의 집에는 고양이가 산다 [출처-교보문고] 작가의 집 박물관은 허구이며 우리 관람객은 그 독자다. 우리가 그 집에서 의미를 끌어낸다. 결국 바르트가 옳았던 것 같다. 책과 마찬가지로 집도 우리 상상력 안에서 재창조되며, 일단 안으로 들어가면 우리 마음대로 그들을 체험할 수 있다. 비난할 수도, 존..

2013. 8. 23. 14:14
틀리기 쉬운 맞춤법, 사이시옷이 붙은 원리는?

지난번에는 꾸준히 신문을 읽고 기사 헤드라인을 통해 틀리기 쉬운 맞춤법을 확인하자는 말씀을 드렸었죠? 그때 전 국립국어원장조차 한국어의 띄어쓰기와 사이시옷은 100% 맞추기 힘들다고 고백했던 기사를 소개해드렸는데요. - 틀리기 쉬운 맞춤법, 기사 헤드라인으로 확인하자 [바로가기] 그는 무리한 현행 사이시옷(ㅅ) 규정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우리말+한자어'로 구성된 단어는 중간에 사이시옷을 넣게 돼 있다. '등교길' '차값'은 틀리고 '등굣길' '찻값'이 맞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등교낄' '차깝'으로 읽히게 되기 때문에 언어의 된소리화를 조장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외래어표기법에서 된소리 표기를 규제하는 것과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했다. 사이시옷은 제대로 쓰이지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2013. 8. 23. 10:07
여행 작가 손미나의 꿈을 키워준 ‘활자의 힘’

당신에게 읽기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인생을 바꿀 책 한 권을 만나는 일을 겪어 보셨는지요. 지난 7일 오후 일곱 시. 서울 마포구 상수동 베짱이 홀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한 ‘독한 습관’ 강연이 진행 되었습니다. 이 날의 연사는 KBS 아나운서 출신의 여행 작가 손미나 씨였는데요. 그녀의 이야기를 들으려는 200여 명의 열혈 독자들이 강연장을 가득 메웠습니다. ‘독한 습관’은 읽기 문화가 사라지는 오늘날, 많은 명사들이 읽기를 통한 자신의 성공 비결을 나눔으로써 젊은이에게 글 읽기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읽기와 절친맺기 손미나 작가는 책읽기를 거창하게 생각하는 작금의 세태를 지적하며 책을 편한 친구로 여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녀의 말에 따르면 우리는 당연히..

2013. 8. 21. 10:12
1 ··· 247 248 249 250 251 252 253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