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NIE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책 뉴스 신문 이벤트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발로 뛰며 배웠던 기자체험 현장 ‘나는 기자다’

    2011.11.30
  • 책과 신문을 더욱 깊이 있게 읽는 방법은?

    2011.11.29
  • KBS 한국어능력시험 최고득점 노하우는?

    2011.11.23
  • 당신의 읽기, 아날로그인가요 디지털인가요?

    2011.11.22
  • 사서직 공무원이 말하는 공무원 시험준비 비법은?

    2011.11.18
  • 술 자리에서 풀지 못하는 고민, 독서토론으로 푸는 방법

    2011.11.15
발로 뛰며 배웠던 기자체험 현장 ‘나는 기자다’

교과서 안에서 배울 수 없는 지식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배우는 체험학습은 중고등 학생들에게 살아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체험학습은 특히 나중에 직업 선택에 있어 좋은 영향을 미치기도 하구요. 그래서 지난달 조선일보에서는 미래의 기자를 꿈꾸는 중고등 학생들을 위해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나는 기자다’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는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조선일보’가 함께 진행하고, 언론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멘토로 참여해 기자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의 키워줬던 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프로기자 못지 않았던 ‘나는 기자다’ 체험현장 ‘나는 기자다’ 체험에 참가하게 될 학생들은 오전 9시 조선일보 본사에 도착해 간단한 오리엔테이션과 미디어와 신문제작에 대한 강의를..

2011. 11. 30. 09:25
책과 신문을 더욱 깊이 있게 읽는 방법은?

제가 어릴 때만 해도 책이 참 귀하게만 느껴졌습니다만, 불과 십여 년 사이, 요즘은 읽을거리가 참 넘쳐나는 듯합니다. 아침 전철에는 무가지 신문이, 인터넷에는 온갖 자료가, 트위터에서는 140자가 빠르게 올라오고, 블로그 포스팅도 어마어마하게 발행됩니다.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e북도 있습니다. 정보의 양은 이렇게 많아졌지만, 좋은 정보를 찾기는 어려워졌습니다. 더불어 쉽고 빠르게 읽고 넘겨버리는 것 역시 많아졌습니다. 인터넷에 올라온 기사나 블로그 글, 트위터를 드래그 몇 번, 손가락질 몇 번으로 휙휙 지나치게 되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PC가 대중화되니, 종이책에 대한 관심은 점점 줄어드는 듯합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친구들은 괜찮은 ‘책’을 추천해달라고 물었지만, 요즘은 괜찮은 ‘앱..

2011. 11. 29. 09:19
KBS 한국어능력시험 최고득점 노하우는?

Print PDF 최근에는 토익(TOEIC) 등 영어공인시험 고득점자들이 워낙 많아지면서 변별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하죠? 그에 따라 인재 선발의 기준으로 영어보다는 우리말 구사능력을 중시하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조직사회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영어보다 한국어 능력을 통한 종합적 사고가 더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래서 최근에는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2004년 처음 시행된 ‘KBS 한국어능력시험’은 매년 3만 여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을 정도인데요. 이젠 언론사뿐만 아니라 대학교 및 기관, 기업 등 그 활용 영역도 넓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정확한 언어구사 능력이 꼭 필요한 직업 중 하나를 뽑는다면 기자나 아나운서와 같은 언..

2011. 11. 23. 10:08
당신의 읽기, 아날로그인가요 디지털인가요?

매일 새벽 6시 30분, 현관문 앞에 어김없이 놓여있던 두툼한 신문. 갓 인쇄된 신문 특유의 잉크냄새가 새벽 공기를 타고 코끝에 머뭅니다. 한때 신문은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힘있는 매체 중 하나였습니다. 인기리에 절찬 연재된 소설은 단행본으로 출간되어 베스트셀러가 되고, 미처 TV 뉴스로 접하지 못한 사건사고 소식을 지면으로 정독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지요. 사람이, 또 삶이 공존하던 그 시절의 신문은 단순한 지식을 넘어 기다림이었고 설렘이었습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옛말 하나 그르지 않은 2011년, 당신의 읽기는 아날로그인가요, 디지털인가요? 신문, 문학을 탐하다 2002년 3월 21일, 그날 아침은 아주 특별했습니다. 목요일이었죠. 한 주의 바이오그래프가 가장 낮은 곡선을 그리는 요일, ..

2011. 11. 22. 10:07
사서직 공무원이 말하는 공무원 시험준비 비법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공무원은 예전부터 인기 있는 직업 중 하나입니다. ^^ 하지만 학력과 나이에 대한 제한이 사라지면서 도전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준비기간도 길어서 쉽게 합격하기 더욱 어려워진 것이 바로 공무원 시험이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요즘은 공무원이라는 직업도 다양화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시험공부 외에 직종에 맞는 정보를 얻는 것도 중요하죠. 이런 다양한 공무원 직종 중 여러분들에게 사서직 공무원에 관한 정보를 드리려 하는데요. 우리가 도서관에 방문하면 자주 볼 수 있는 사서직 공무원에 대해 단순히 도서관에서 일하는 분들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그 업무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이랍니다. 또한 사서직 공무원 채용은 일반직 공무원과는 달리 누구나 응시할 수 ..

2011. 11. 18. 10:05
술 자리에서 풀지 못하는 고민, 독서토론으로 푸는 방법

독서모임이 나아가야 할 방향 중의 하나가 바로 “자기발전(계발)”입니다. 책을 읽고 독서토론을 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의 지식을 뽐냄과 동시에 타인의 지식을 습득합니다. 독서모임을 통해 나누는 대화로 자신에게 긍정적 변화의 기회가 찾아왔다면 그것은 1석 3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말 좋은 기회입니다. 지난 다독다독 연재 글에서 독서치유로 삶을 변화시킨 한 청년의 이야기를 읽은 분들이 ‘독서모임에서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까?’, ‘너무 어려운 영역은 아닐까?’라며 독서모임에서 독서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많이 문의해 주셨습니다. 매일 신세한탄 하던 A군, 좌절의 늪에서 빠져나온 방법(바로가기) 자신의 단점을 긍정으로 변화시키는 독서토론 독서모임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단계별로 준비하여 ..

2011. 11. 15. 09:08
1 ··· 275 276 277 278 279 280 281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