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책 미디어리터러시 NIE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다독다독 신문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다양하게 책을 읽어보는 7가지 방법

    2011.12.27
  • 현직 기자가 말하는 언론사 합격의 모든 것

    2011.12.21
  •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될 때, ‘책 파도타기’어떠세요?

    2011.12.20
  • 신문활용교육이 읽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2011.12.19
  • ‘스펙’ 아닌 ‘실력’으로 뽑힌 기자, 그의 기사가 특별한 이유는?

    2011.12.14
  • 나를 밥 먹여줬던 '경제 • 경영서' 읽기

    2011.12.12
다양하게 책을 읽어보는 7가지 방법

책을 읽는 것은 사람을 만나는 것과 같습니다. 표지가 멋지다고 내용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책 앞부분만 읽고는 그 책을 다 안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처음 읽어도 싫증이 나는 책이 있고, 볼 때마다 깨달음을 주며 깊이가 느껴지는 책이 있습니다. 어떤 책은 쉽게 휙 읽고 지나치게 되는 반면, 어떤 책은 내용이 좋아 한번 읽고 덮어버리기엔 너무 아깝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모두가 베스트셀러를 원하지 않기도 하며, 잘 알려지지 않은 책이 자신의 마음을 뺏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책을 늘 가까이하고, 누군가는 책 읽기를 싫어합니다. 어떤 책은 읽는 이의 인생을 바꾸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읽을거리가 매우 적었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SNS가 활발해지면서 읽을 게 많아졌습니다. 신문도 쉽게 볼 수 있고 친구들이 무슨..

2011. 12. 27. 09:04
현직 기자가 말하는 언론사 합격의 모든 것

“왜 기자가 되고 싶으세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어렵지 않다. “여론을 주도하고 싶어서”, 활동적이고 자유로운 직업이니까”, “그냥 멋있어 보여서” 등 수많은 대답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쉽게 대답하기가 어렵다. 워낙 전형 자체가 주관적인데다 준비하는 과정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언론사들은 시험꾼(?)을 배격한다. 그들은 나이, 졸업연도, 지원횟수, 특이한 전형방식으로 시험꾼을 걸러내려 애쓴다. 그들이 뽑고 싶은 사람은 단지 시험을 준비한 사람이 아닌 언론인이 되는 것을 준비한 사람이다. -책 (이재철 외 지음, 웅진윙스) 서문에서- 언론인이 되기 위해서 불철주야 가리지 않고 '언론고시'를 준비하는 많은 수험생..

2011. 12. 21. 09:55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될 때, ‘책 파도타기’어떠세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장르는 문학입니다. 그 중에서도 19세기 러시아문학과 ‘도스토예프스키’를 가장 좋아합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또렷하게 좋아하는 장르와 작가를 말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문학을 가장 좋아하지만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지, 앞으로 어떤 분야의 책을 읽고 싶은지 늘 모호했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과는 전혀 다른 책을 만나 실패도 많이 하고 지난함도 느끼며 책 읽기를 번복했습니다. 제가 이렇게 좋아하는 문학 장르를 또렷하게 찾을 수 있었던 것은 많은 시행착오 가운데 나름대로 체득한 방법 때문이었습니다. 저는 그 방법을 ‘책 파도타기’라고 부릅니다. 어떤 책을 읽다 다른 책에 대한 언급이 나오면 그 책을 직접 찾아서 읽어봅니다. 언제부터 그렇게 읽었는지 정확한 기억은 없지만 본격적으로 ‘책 파..

2011. 12. 20. 09:23
신문활용교육이 읽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으로 대변되던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 시장은 인터넷, IPTV, 스마트미디어 등 다수의 신규 뉴스 매체가 출현함으로써 변화의 급물살을 타고 있다. 그런 가운데 뉴스의 전달 창구가 인쇄매체 중심에서 전자매체 및 모바일매체로 확산돼 가면서 특히 신문산업은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신문산업은 지속적으로 구독자와 열독자의 감소를 경험하고 있는데, 2008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실시한 수용자 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문 정기구독률은 1996년 69.3%에서 2008년 36.6%까지 하락했다. 2010년 조사 결과에서는 신문 주간 열독률이 52.6%로 2002년 대비 30%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률의 감소와 함께 열독시간 역시 감소하여 1996년 평균 열독시간..

2011. 12. 19. 10:04
‘스펙’ 아닌 ‘실력’으로 뽑힌 기자, 그의 기사가 특별한 이유는?

지난 9월 기자를 꿈꾸는 학생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던 대회가 있었습니다. 바로 한경미디어그룹의 수습기자 채용 서바이벌인 이었는데요. 스펙이 아닌 순수한 실력으로 기자를 뽑겠다는 취지로 실력 중심의 채용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이색적인 대회였죠. 순수한 실력만으로 기자를 뽑는다는 말에 언론고시를 준비하는 많은 기자 지망생들도 ‘기자다운 기자를 채용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지원양식부터 학점, 외국어, 가족관계 등을 쓰는 칸을 아예 두지 않으면서 이런 의심들이 곧 사라졌다고 합니다. 이렇게 는 지난 11월, 두 달여의 대장정을 마무리하고, 편견 없이 오로지 실력만으로 기자를 뽑는 파격적인 채용문화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언론계 최초의 시도였던 이번 대회에의 최종 합격자 중 한명인 ..

2011. 12. 14. 10:48
나를 밥 먹여줬던 '경제 • 경영서' 읽기

제가 처음으로 책을 구입한 것은 초등학교 4학년 때 입니다. 아저씨 몇 명이 하굣길 길가에 트럭을 세워놓고 주소와 연락처만 받고 아이들에게 선물이라고 나눠준 것은 철제 마징가 제트. 당시에 반에서 부잣집 자식 한 두 명만 갖고 있을 법한 고가의 희귀 장난감이었죠. 저도 늦을세라 줄서 있는 수십 명의 아이들 사이로 뛰어들어 아저씨가 건네는 서류에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를 적어주고 장난감 선물을 받았습니다. 이틀 후 집에 돌아왔을 때 저를 기다린 것은 방에 산더미처럼 쌓인 두 질의 소년소녀문학전집과 아버지의 몽둥이 뜸질이었습니다. 그 후 일 년 동안, 책 할부금 4,000 원을 내고, 매달 25일이면 아버지 앞에서 한 달 동안 읽은 책을 검사 받았습니다. 그 때 읽은 50권짜리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중 가장 ..

2011. 12. 12. 09:30
1 ··· 275 276 277 278 279 280 281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