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스마트폰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NIE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언론진흥재단 뉴스 기자 미디어교육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17년차 주부인 엄마가 지식인으로 보이게 된 이유는?

    2011.09.26
  • <해운대>윤제균 감독, 평범한 직장인에서 영화감독이 되기까지

    2011.09.23
  • 학교에서 잠만 자던 아이가 공부에 관심 갖게 된 이유

    2011.09.22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이 말하는 ‘읽기’란?

    2011.09.21
  • 영화 <해운대> 윤제균 감독이 말하는 스토리텔링의 원천은?

    2011.09.20
  • 수험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신문 활용 방법

    2011.09.20
17년차 주부인 엄마가 지식인으로 보이게 된 이유는?

엄마에겐 꿈이 있습니다. 그건 아무나 쉽게 외면할 수 있을 만큼 하찮은 것이 아니었고 누구나 이룰 수 있을 만큼 쉬운 것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공부’이지요. 하지만 공부를 좋아하고, 늘 공부하는 17년차 주부인 엄마는 집에서 설거지를 해야 했고, 빨래도 해야 했으며, 밥도 차려야 했습니다. 그런 엄마에게 매일 새벽녘 집으로 배달되는 신문 한 부는 하루를 열어주는 따스한 햇살 같은 존재입니다. 새벽 공기를 담은 신선한 신문을 가슴에 꼭 안고 자리에 앉으신 엄마는 6시간 동안 신문 속 모든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셨습니다. 빨간 펜, 문구용 칼, 30센티미터 자, 수첩을 가지런히 올려둔 식탁은 엄마의 책상이었으며 우리 가족 지식의 샘물이었지요. 학교에 갔다 오면 책상 위에 놓인 수북한 신문 스크랩 더미..

2011. 9. 26. 09:12
<해운대>윤제균 감독, 평범한 직장인에서 영화감독이 되기까지

1999년 한 달 동안 쓴 시나리오가 한 시나리오 공모전에서 대상 수상 2001년 처음으로 연출한 영화의 관객수 330만명 2009년 각본, 연출, 제작한 영화 관객수 1,131만명 2010년 제 4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수상 2010년 제 1회 서울문화예술대상 영화감독부문 대상 화려한 경력을 가진 이 사람, 그는 바로 의 윤제균 감독입니다. 한 분야에서 성공한 많은 사람들은 일찍부터 자신의 길을 깨닫고 매진해 온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그런데 이렇게 화려한 경력을 가진 그가 영화감독으로 데뷔하기 전에는 영화 연출은 커녕 단편 영화 한 편 찍어 본 적이 없는 평범한 샐러리맨이었다면, 먼저 어떤 생각이 떠오르세요? 게다가 IMF 시절 무급 휴직 기간에 밖에 나갈 차비도 없어 방에서 돈 없이 할 수 있는 ..

2011. 9. 23. 14:07
학교에서 잠만 자던 아이가 공부에 관심 갖게 된 이유

민재는 공부를 놓은 지 6년이 넘었습니다. 부모님이 장사를 하다 보니 아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고 한 번 공부에 흥미를 잃은 아이는 아무리 비싼 과외 선생님을 붙여줘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과외비로 집 한 채는 날렸다'고 할 정도로 많은 과외도 받았습니다. 민재는 중학교 3년을 내리 잤습니다. 점심시간에 누군가 깨워주지 않으면 밥을 굶을 정도로 학교에 가면 잠이 잘 온다고 했습니다. 밤늦도록 게임하느라 늘 지쳐 있으니 어련했겠습니까? 그렇다고 특별히 지능이 낮거나 둔한 아이는 아닙니다. 네 살 때 천자문을 외울 정도여서 사람들이 천재라고 했던 아이였습니다. 민재는 기초가 많이 부실했습니다. 어휘력은 물론 이해력이 바닥이었지요. 최근에 읽은 책이 뭐냐고 물었더니 언제 책을 읽었는지 기억조차 안 난다고 했..

2011. 9. 22. 09:18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유홍준이 말하는 ‘읽기’란?

전국적인 답사 신드롬을 일으켰던 인문학 대표 밀리언셀러 를 읽어보신 분들 많으시죠? 우리가 몰랐던 문화유산의 숨은 재미와 감동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이 책의 저자 유홍준 교수는 얼마 전 인기 토크 프로그램에도 출연해 재치있는 입담을 보여주었는데요. 그는 올해 더 큰 감동을 담은 제6권을 새로 펴냈습니다. 미술평론가로서 ‘문화재청장’도 역임했던 그는 우리나라 미술사와 문화유산에 대해 누구보다 깊은 애정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를 만나 우리나라 문화유산과 인문학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습니다. 얼마 전 출연하신 ‘무릎팍도사’의 반응이 아직까지도 뜨겁습니다. 아마 안철수 원장 이후 최대의 센세이션이 아니었을까 싶은데요. 학자로서 쉽지 않으셨을텐데 출연을 결심하신 결정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섭외가 처음 들어..

2011. 9. 21. 13:02
영화 <해운대> 윤제균 감독이 말하는 스토리텔링의 원천은?

한 줄의 광고카피가 주는 매력, 마음을 울리는 시나 소설. 우리는 주변에서 각종 매체를 통해 짧은 글에 감동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어떻게 이런 말이 떠오르고 또 이것을 글로 표현할 수 있었을까?’라고 느끼며 글을 쓴 사람들에게는 무언가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기도 하죠.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는 ‘스토리텔링’. 즉, 이야기 전달의 기법은 마음먹는다고 쉽게 키울 수 없는 능력일텐데요. 아주 오랫동안 자신의 내면에 쌓이고 쌓여서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나온다고 할 수 있죠. 그렇다면 이런 능력의 원천은 어디에 있을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멋진 광고카피를 만들거나 책을 쓰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오랫동안 읽기를 즐겼고, 주변의 다양한 현상과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고 합니다. 이런 이..

2011. 9. 20. 13:15
수험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신문 활용 방법

큰 아이가 고등학교에 입학하고 제가 제일 먼저 한 일은 신문구독이었습니다. 대입 준비 시 신문구독이 필수라는 사실은 학교에서도 강조하는 사실입니다. 이유는 수험생들이 논술을 준비할 때 필요한 논리력과 분석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 가능하다면 신문은 최소 두 개 이상을 보는 게 좋다고 말합니다. 논술이 바라는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 자신의 논리를 펼치는 것이기 때문에 ‘보수언론’쪽과 ‘진보언론’쪽을 동시에 읽는 것도 다양한 사고를 가지는 데 도움이 될테니까요. 대입준비는 아이만 하는 게 아니란 것은 기정사실화 된 현실이지만 바쁘게 준비해야 하는 아침시간에 맞벌이인 저희 부부나 조각잠을 자는 아이가 두 가지 신문을 꼼꼼히 읽기란 상당히 무리입니다. 그래서 터득한 노하우가 있습니다. 기상알람과 ..

2011. 9. 20. 09:53
1 ··· 280 281 282 283 284 285 286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