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7)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기자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다독다독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91)

  • 트위터에 찍어 올린 지면기사 불법일까?

    2011.10.13
  • 사회생활에 지쳐 잊고 있었던 꿈을 다시 찾는 방법

    2011.10.13
  • 팝페라테너 임형주가 하루에 신문 15부 읽는 이유

    2011.10.11
  • 엄마나라의 책을 볼 수 있는 다문화 도서관 찾아가 보니

    2011.10.07
  • 독서로 인생이 바뀐 블로거가 말하는 ‘책의 힘’

    2011.10.06
  • 읽지 않는 우리사회에 던지는 유홍준 교수의 한마디

    2011.10.04
트위터에 찍어 올린 지면기사 불법일까?

SNS라고 불리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우리는 진정한 1인 1미디어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개인이 뉴스를 생산하기도 하고, 기존의 뉴스를 재배포하기도 하면서 SNS를 통해 신속하게 정보를 얻는 스마트한 이용자들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심코 올린 신문 속 기사의 내용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불법’을 저지르게 됐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요? 엄연히 뉴스나 보도사진에도 존재하는 저작권에 대해 우리는 너무 무관심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래서 이런 뉴스의 저작권에 대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저작권 보호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공동으로 을 주최했었는데요. 기존의 단순한 영상이 아닌 애니메이션이나 일..

2011. 10. 13. 14:23
사회생활에 지쳐 잊고 있었던 꿈을 다시 찾는 방법

읽기에 몰입한 건 아주 뒤늦은 때였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우연히 찾아왔습니다. 그 이전에 위인전이나 세계명작동화 같은 걸 읽지 않은 건 아니지만, 별로 깊은 인상이 남지 않았고, 당시 읽은 심훈의 『상록수』가 기억에 또렷합니다. 국어 교과서에 본문 일부가 나왔는데, 국어 선생님께서 전편을 읽어보라고 하셨죠. 물론, 읽을 마음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조금 친하게 지내던 반 친구가 아주 재미있으니까 한번 보라고 하더군요. 때는 1984년. 시골에서 자연을 벗하고 살다 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대구로 나온 때였습니다. 친구도 별로 없고, 쓸쓸하고 외로운 자취생활을 하던 어느 일요일. 당시 한참 인기를 끌던 성룡의 란 영화를 친구와 함께 동네 극장에서 보면서 시간을 죽이던 때였습니다. 그렇게 어슬렁거리다 집 ..

2011. 10. 13. 09:21
팝페라테너 임형주가 하루에 신문 15부 읽는 이유

시대가 변할수록 기존 매체, 특히 신문과 같은 인쇄매체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적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신문의 필요성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읽기문화의 확산을 위해 지난 6일 프레스센터에서는 한국신문협회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동 주최한 ‘2011 대한민국 NIE 대회’가 열렸는데요. 김재호 한국신문협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신문은 다양한 견해와 통찰력을 제공하고 인식의 힘을 넓혀주는 지식의 샘”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이렇게 지식의 샘이자 세상을 보는 창이라고 할 수 있는 신문이 주는 즐거움을 널리 알릴 수 있었던 NIE대회 현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신문 읽기는 미래에 대한 투자 이날 NIE 대회는 전국 각지에서 공모했던 ‘신문사랑 NIE 공모전’과 ‘재난과 나눔 패스포트’ 시상식, NIE 연구결과 발..

2011. 10. 11. 09:07
엄마나라의 책을 볼 수 있는 다문화 도서관 찾아가 보니

이미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도 ‘다문화’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이 거주하며,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가 되었는데요. 하지만, 여전히 그들과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하나의 구성원이라는 생각보다는 편견을 가지거나 낯설음을 느껴 거리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 시선들 때문에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은 스스로 움츠러들거나 마음을 열지 못하는 일이 많다고 해요. 그래서 그들도 우리와 같은 것을 나누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내 • 외국인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우리’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할 것 같은데요. 그 소통방식 중 하나로 ‘책’을 들 수 있습니다. 비록 언어는 다르더라도 책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라가 다르더라도 같은 것을 느끼고 생각한다는 점..

2011. 10. 7. 13:06
독서로 인생이 바뀐 블로거가 말하는 ‘책의 힘’

어릴 적, 저는 친구 하나 제대로 사귀지를 못하고 늘 혼자 지내거나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하면서 늘 울며 학교를 다녀야 했습니다. 그야말로 절대적인 절망에 빠져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그런 제가 조금씩 노력하면서 바뀔 수 있었던 계기가 있었습니다. 바로 어느 한 ‘책’과의 만남이었습니다. 그 책은 저에게 용기를 불어넣어주었고, 노력한다면 바뀌어서 다른 이들이 부러워하는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그 책을 만난 것이 제 인생에서 최고의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책을 읽었기 때문에, 저는 독서에 푹 빠질 수가 있었고, 그렇게 해서 만난 많은 책들이 저를 이렇게 성장시켜주었기 때문입니다. 저에게 특별한 의미 이상이 있는 그 책은 바로 ‘공부9단 오기10단’이..

2011. 10. 6. 13:12
읽지 않는 우리사회에 던지는 유홍준 교수의 한마디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이 우리 삶을 주도하는 요즘, 많은 명사들은 유독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각자의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그들은 읽기가 오늘날의 자신을 있게 했다고 말하는데요. 비록 명사들이 아니더라도 주변에서 말을 잘하거나 지식이 풍부한 사람들을 보면 신문이나 책을 즐겨 읽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때가 많습니다. 신문과 책은 대체 어떤 힘을 갖고 있는 걸까요? 온라인 매체가 발달하고 오프라인 매체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는 요즘, 오프라인의 중요성에 대해 유독 강조하고 있는 유홍준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깊이 있는 읽기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습니다. 지난 9월 29일 전남대학교에서 열린 현장에서 유홍준 교수가 전한 읽기의 힘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온라인 시대..

2011. 10. 4. 13:59
1 ··· 280 281 282 283 284 285 286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