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기자 신문읽기 다독다독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신문 이벤트 독서 스마트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책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나를 깨우는 한 줄 (11월 1주차)

    2016.11.11
  • 11월 11일은 무슨 날?

    2016.11.11
  • 대학생 논문읽기 학습동아리 인터뷰 <논문학습 노하우>

    2016.11.10
  • 지구촌 곳곳의 사막화 현상

    2016.11.10
  • 정보 복지는 미디어 리터러시에서부터

    2016.11.10
  • 미리 알아둬야 할, 난방비 절약 방법

    2016.11.09
나를 깨우는 한 줄 (11월 1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11월 1주차의 문장을 모았습니다. 책 한 권을 읽는다는 것은 그 사람을 읽는다는 것이고,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뜻이다.책과 사람 공통된 의미를 지닌 위대한 스승이다. 전승환 『나에게 고맙다』중에서 재능이 있거든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사용하라.쌓아두지 마라. 구두쇠처럼 아껴 쓰지 마라.파산하려는 백만장자처럼 아낌없이 써라. 브렌단 프랜시스(Brendan Francis Behan) 사람들이 모든 일을 해내는 것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베르길리우스(Virgilius) 책은 꿈꾸는 걸 가르쳐 주는 진짜 선생이다. G.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우리는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쓰지만 타인과 어울리는 시간은 줄었다...

2016. 11. 11. 17:00
11월 11일은 무슨 날?

[요약] 여러분에게 11월 11일은 무슨 날인가요? 대부분 빼빼로데이로 알고 있지만, 법정 기념일로 치면 농업인의 날이기도 하며 보행자의 날이기도 합니다. 해외의 경우는 어떨까요? 중국은 광군제(싱글데이)라고 하여 소개팅과 파티를 하고, 기업들은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하여 쇼핑 특수를 누립니다.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인 셈이죠. 11월 11일 보내는 우리나라와 해외의 문화 풍경을 살펴봅니다. #11월 11일 기념일의 다양한 얼굴 11월 11일을 빼빼로데이로만 기억하고 계신가요? 11월 11일은 법정 기념일로 치면 농업인의 날이자 보행자의 날입니다. 농업인의 날은 지난 1996년부터 시행됐습니다. 이맘때 농민들이 수확을 마무리하고 한숨을 돌리고, 한자로 '일 십(十)'과 '한 일(一)’자를 하나로 합치면 '..

2016. 11. 11. 14:10
대학생 논문읽기 학습동아리 인터뷰 <논문학습 노하우>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요약] 글을 읽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학습을 위해 읽게 되는 논문 역시 사람에 따라 다른 읽기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논문 학습동아리 3인의 3가지 논문 읽기 방법을 소개합니다. #논문 속에 가장 중요한 포인트=‘논지’ 글을 쓸 때 요점을 분명히 하는 일은 글쓴이의 책임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논문을 골치 아픈 글로만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많은 글들이 전문가들도 이해하기 힘든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돼 있어 까다롭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수필이든 논문이든 독자에게 요점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꼭 할 일이 있습니다. 그것은 글 전체를 통해서 쓰려는 내용을 명확하고 간단하게 한 문장으로 명료하게 제시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글에서는 글의..

2016. 11. 10. 17:00
지구촌 곳곳의 사막화 현상

[요약] 지난달 28일 유명 과학저널 사이언스지는 ‘기후변화 : 2015 파리기후변화협정 기준과 지중해 생태계’라는 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현재와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2100년쯤에는 스페인이 사막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사막화 현상은 비단 다른 나라의 일만은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다의 사막화 현상이라 불리는 백화현상이 동해안을 넘어 서남해에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구촌 곳곳의 사막화 현상과 대처를 소개합니다. #지구온난화로 2100년엔 스페인이 사막이 된다 프랑스 엑스-마르세유 대학의 연구진은 지난달 28일 사이언스지에 발표한 '기후변화: 2015 파리기후변화협정 기준과 지중해 생태계'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현재와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2100년쯤에는 스페인이 사막화될 것으로..

2016. 11. 10. 15:00
정보 복지는 미디어 리터러시에서부터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정보화 시대’, ‘지식기반 사회’는 21세기 사회를 규정하는 대표적인 표현 중 하나다. 물론 다른 한편에서는 ‘정보 홍수’, ‘정보 과부하’의 시대라고도 한다. 이는 너무 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와 개인과 사회가 수용 가능한 수준을 넘어섬으로 인해 정보 처리의 효율성이 되려 떨어지고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라는 뜻이다. #정보 복지, 정보 접근 불평등 문제에서 리터러시 능력 차이로 변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IT기술의 발달은 정보의 과잉 생산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지금 우리는 필요 이상의 정보가 만들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래서 자신에게 필요하고 믿을만한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정보에 대한 이런 선별력을 갖추고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원하는 ..

2016. 11. 10. 12:00
미리 알아둬야 할, 난방비 절약 방법

[요약] 11월에 접어들며, 보일러 사용에 신경을 써야 할 때가 왔습니다. 겨울에 접어들기 전 알아둬야 할 보일러 사용 방법 등 난방비 절약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입동을 지나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었습니다. 수은주가 뚝 떨어지면 반대로 난방비 걱정이 쭉 올라가는데요. 춥다고 해서 무작정 실내온도를 높일 수는 없는 일이지요. 건강을 위해서도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는 18도~20도로, 온도 1도를 낮추면 최대 7%의 난방비가 절약된다고 합니다. 난방비 절약하는 비법 또 무엇이 있을까요? #열 손실을 막아라 외풍 차단하기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차단만 해도 실내 온도를 2~3도 높일 수 있습니다. 에어캡을 창문에 붙이고, 문풍지는 창틀이나 문틈에 붙여 틈새 바람을 막아줍..

2016. 11. 9. 17:00
1 ··· 21 22 23 24 25 26 27 ···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