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뉴스 이벤트 미디어 독서 책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MCN으로 살펴 본 개인이 주인이 되는 세상

    2015.10.15
  • 조선의 궁중 요리사는 모두 남자였다!

    2015.10.14
  • 난민문제, 정말 남의 이야기일까요?

    2015.10.13
  • 포탈 연쇄 살인마 ‘루리웹’의 교훈

    2015.10.02
  • 이 시대의 부자 관계를 묻다

    2015.09.25
  • 네이버가 우리나라 제조업을 바꿀 수 있을까

    2015.09.24
MCN으로 살펴 본 개인이 주인이 되는 세상

그 동안 자본주의 세상을 이끌던 경제 이론의 기본 가설은 모든 사람들이 정보에 완벽히 접근 해 완벽하게 합리적인 결정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실 세상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었죠. 모든 사람들이 모든 정보에 접근 한다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지만 가능하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너무 커 합리적인 결정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인터넷에 접속하면 모든 정보를 검색 할 수 있어 정보 탐색 비용이 제로에 가까워졌고 경제 이론이 가설이 아닌 현실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에게도 똑같이 적용 되고 있습니다. 정보 탐색 비용의 감소는 역설적으로 제품과 정보의 평준화, 통일화 현상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생산자들도 정보 탐색 비용이 제로에 가까워지자 다른 ..

2015. 10. 15. 09:00
조선의 궁중 요리사는 모두 남자였다!

아무리 높고 높으신 임금님이라 해도 밥은 먹고 살아야 하는 법. 게다가 왕조시대 임금이 밥을 잘 먹고 건강하게 있는 것은 나라의 중요한 사안이었습니다. 임금님 쯤 되면 나라 안에서 가장 훌륭한 밥상을 받았을 것도 같지요. 그런데 과연 누가 그런 음식들을 만들었을까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수라상궁!’일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몇 년 전 크게 인기를 끌었던 어떤 유명한 드라마 덕분이지요. 이미지와 달리 실상은 달라도 많이 달랐습니다. 조선시대 세종 때, 명나라가 요리를 잘 하는 여인들을 공녀로 바치라고 요구를 한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세종은 오히려 당황해서 신하들에게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궁중 요리를 만드는 것은 다 남자로 여자가 아는 바가 아닌데?" 그렇지요, 이 때만 해도 임금님이 먹을 ..

2015. 10. 14. 14:00
난민문제, 정말 남의 이야기일까요?

난민이란 본래 전쟁이나 재난을 당하여 곤궁한 처지에 있는 백성을 뜻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요즘은 인종적, 사상적, 정치적 혹은 전쟁이나 재난을 피해 타국으로 떠나는 집단망명자들을 일컫습니다. 20세기 이후 러시아혁명, 제 1, 2차 세계대전 등을 거치며 크게 증가한 난민의 수는 2014년 UN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6천 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게다가 2011년 이후 시리아 내전이 지속되면서 최근 유럽은 난민사태라고 불리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인도적인 차원에서 난민들을 수용하는 것이 당연한 듯 보이나, 그 수가 워낙 많다보니 유럽 각국에서도 이를 두고 논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게다가 유럽은 그 옛날 당시 난민이었던 게르만족의 대 이동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로 인..

2015. 10. 13. 14:00
포탈 연쇄 살인마 ‘루리웹’의 교훈

카카오는 지난 23일 주주총회를 열고, 회사명을 ‘다음카카오’에서 ‘다음’이라는 단어를 빼고 ‘카카오’로 변경하는 안을 승인했습니다. 1995년 출범한 대표적인 1세대 포탈인 다음이 공식적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순간입니다. 사이트는 아직 살아 있지만, 카카오로 인수된 후 최근 1년 사이에 ‘마일리지’, ‘문자’, ’쪽지’, ‘키즈짱’, 캘런더’, ’클라우드’ 등 16개 서비스가 종료 되었습니다. 최근 1년간 공지 사항을 보면 온통 서비스 종료 안내 공지가 도배되어 있어 사이트를 접으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루리웹의 흥망성쇠 국내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는 말 중에 ‘루리웹의 저주’라는 말이 있습니다. ‘루리웹’을 품었던 포탈 사이트들이 모두 망하거나 크게 쇠락해 사람들의 관심에서 ..

2015. 10. 2. 09:00
이 시대의 부자 관계를 묻다

사도세자의 이야기가 '사도'라는 영화로 만들어졌습니다. 훌륭한 배우들의 멋진 연기와 스토리를 기대하는 것과는 별개로, 개인적인 감상을 이야기하자면 또? 입니다. 필자가 아주 어렸던 시절에 보았던 사극 드라마에서부터 각종 영화 소설 심지어 만화까지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참으로 많이 다뤄졌으니 말입니다. 그렇다고 이 모든 이야기가 모두 그 밥에 그 나물이라고도 할 수도 없는데, 각 작품에서 그려지는 사도세자의 모습은 참으로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때론 집권세력인 노론에게 밉보인 희생자이기도 하고, 어느 때는 북벌을 꿈꾸는 개혁자이기도 했습니다. 혹은 무자비하게 사람들을 해친 살인마이기도 하며, 아버지에게 사랑받지 못한 불행한 아들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제 가장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이 들어오게 됩니다. "어느 게..

2015. 9. 25. 09:00
네이버가 우리나라 제조업을 바꿀 수 있을까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네이버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만 돌아가던 웹과 앱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벗어나 다양한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로보틱스, 스마트홈, 스마트카, 피트니스 등에 도전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미, 자동차 개발에 400억원, 스마트 홈 분야에 100억원, 로봇 공학에 400억원을 확보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네이버에서 발표한 전략은 전형적인 구글 따라하기 일환인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은 '구글카'로 불리는 자율 주행차를 통해 6년간 280만㎞ 이상을 달리며 테스트를 하고 있고, IoT분야에서는 스마트 온도 조절기인 네스트를 인수한데 이어, IoT OS인 브릴로(Brillo)와 발표해 IoT의 ..

2015. 9. 24. 09:00
1 ··· 21 22 23 24 25 26 27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