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2)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신문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다독다독 이벤트 뉴스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미디어리터러시>(112)

  •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2022.11.25
  •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2022.11.21
  •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2022.10.24
  •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2022.08.30
  •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기술’, 제도적·문화적·산업적 의미 살펴야

    2022.08.22
  • 초등학생을 위한 미디어 생활의 길잡이!

    2022.08.09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 ​ 주한독일문화원 ‘페이크헌터 탐정단’ 프로젝트 가짜뉴스를 찾아라! 청소년을 위한 허위정보 판별 교육 김의관 (주한독일문화원 교육협력부&PASCH 동아시아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주은혜 (주한독일문화원 정보&도서관 프로젝트 매니저) ​ ​ ​ ​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는 2018년 독일에서 탄생한 청소년 대상 가짜뉴스 판별 교육 프로젝트로, 지금까지 독일 전역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이해를 높이고 정보와 미디어 리서치 능력을 키우면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 주한독일문화원은 한국 현실에 맞게 페이크헌터 프로젝트를 재구성하여 올해 처음 ‘페이크헌터 탐정단’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만 15~18세의 청소년이라면 독일어 능..

2022. 11. 25. 10:37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대담: ‘기후 위기와 학교 현장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환경 생태 교육에 앞장서 지행일치의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세 명의 교사와 대담을 나누었다. 전 지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소통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장서윤 (대전구봉고 교사) 기후 위기와 관련한 뉴스 기사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면서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마련해 준다.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깨닫다 보면 자연스럽게 실천의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참석자 진행: 안계현 ..

2022. 11. 21. 17:57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일반인의 창의성 발휘를 통한 사회적 관계 실현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이해 초등학생의 장래 희망이 유튜버가 된 지는 이미 오래고, ‘1인 미디어 전성시대’라는 표현도 진부하게 여겨질 만큼 이제 1인 미디어는 자연스러운 시대 흐름이 됐다. 두 번째 순서로 ‘1인 미디어와 크리에이터/BJ’의 정의와 유형, 사례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해해 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하지만 개선점 역시 제기되는데, 창작자의 윤리 측면에서 소수자 혐오 발언으로 조회 수를 높여 수익 창출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성찰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과 MCN이 창작자를 위한 1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우리는 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가? 커뮤니케이션..

2022. 10. 24. 17:09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특별 대담: 효과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한 ‘언론학자-교육학자’ 상호 작용 지난 4월 12일, 작지만 매우 뜻 깊은 행사가 열렸다. 웹진 발간 20호를 기념해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활발하게 활동 중인 언론학자와 교육학자 4인이 참석한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언론학자와 교육학자는 어떻게 상호 작용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특별 대담이 진행됐다. 대담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송은아 (계간 , 자유기고가) 미디어학에서는 미디어 전반에 대한 이해는 있지만 미디어 리터러시에 어떻게 접목시켜야 되는지도 모르고, 학습자, 교육 프로그램, 교수법에 대한 이해가 없다. 이 부분이 가장 접목이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한다..

2022. 8. 30. 14:50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기술’, 제도적·문화적·산업적 의미 살펴야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기술’, 제도적·문화적·산업적 의미 살펴야 미디어 리터러시 첫걸음: 미디어란 무엇인가?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란 무엇인지 미디어의 정의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이숙정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미디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미디어 기술이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과정 그리고 미디어 기술로 매개된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 매개, 기술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자.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에 대해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듯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

2022. 8. 22. 10:00
초등학생을 위한 미디어 생활의 길잡이!

​ ​ 초등학생을 위한 미디어 생활의 길잡이! 책 소개-‘미래를 여는 미디어 교과서’ ​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0년 고등학교용 교과서를 시작으로 2021년 중학교용 , 올해 초등학교용 를 잇따라 개발하며, 학교 미디어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기획하고, 초등 교사 5인이 집필한 (창비)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 김희동(서울교대 강사) ​ ​ 저자들은 초등학교 교사이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와 실천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로, 초등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론, 개념, 지식 중심의 교재가 아닌 흥미를 고려한 활동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재를 구성했다. ​ ​ 제임스 포터(James Potter)는 2002년 서문에서 “우리 모두는 두 개의 세계, 즉 실제 세계와 미디..

2022. 8. 9. 17:12
1 ··· 9 10 11 12 13 14 15 ··· 1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