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이벤트 다독다독 NIE 공모전 신문읽기 미디어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언론진흥재단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제돌이의 귀향으로 살펴본 돌고래 포획문제

    2013.04.04
  • 스마트폰으로 야동 보는 아이들, 괜찮을까?

    2013.04.03
  •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로 본 제주 4.3사건

    2013.04.03
  • 대기업 문화산업 확장, 목소리를 내야 하는 이유

    2013.04.02
  •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신문 활용법

    2013.04.01
  •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만우절 기사 모아보니

    2013.04.01
제돌이의 귀향으로 살펴본 돌고래 포획문제

어린 시절 부모님과 함께 놀러 가서 형형색색의 동물들에게 빠졌던 동물원. 공작새의 아름다운 깃털, 징그러운 뱀, 키가 큰 기린, 늠름한 사자와 호랑이 그리고 재주 많은 돌고래쇼. 아마 거의 모든 분의 어린 시절 추억 중에는 동물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거예요. 추억을 따라 조만간 따뜻한 봄날에 동물원 방문 계획을 가지신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동물원은 언제 처음 생겼는지도 모를 까마득한 옛날부터 존재했다고 해요. 기원전 1150년경 중국에는 이미 왕후인 달기가 사슴을 구경하기 위해 대리석으로 사슴 집을 만들었다고 하고 문왕은 영유라는 동물원을 지었다고 하죠. 아마 동물을 인간이 길들이면서부터 동물원이 등장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근대 동물원이 대중에게 공개됨과 동시에 등장한 문제의식이 있죠...

2013. 4. 4. 09:51
스마트폰으로 야동 보는 아이들, 괜찮을까?

‘좋은 도구가 탁월한 교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탁월한 교사는 도구를 잘 쓸 줄 안다. - 태퍼’ 교육에 관한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아마 오늘날 교육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신경 쓰는 도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디지털 기기가 아닐까 합니다. 디지털 기기의 발달은 교육에 생각지도 못한 효과를 가져왔는데요. 모든 도구가 그렇듯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이 쓰는 디지털기기들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디지털기기의 부정적 활용. 스마트폰으로 야동을 보는 어린이들 PC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생활화 된 이후 아이들이 성적으로 문란하거나 폭력적인 영상을 접하기가 훨씬 쉬워졌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부터는 단어 ..

2013. 4. 3. 14:02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로 본 제주 4.3사건

독립영화 ‘지슬’이 개봉 13일 만에 관객 6만 5,000명을 불러 모으며(4월 2일 기준) 조용한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제주 지역의 이야기를 다룬데다가, 제주도 사투리 덕분에 시종일관 자막을 함께 봐야 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흑백으로 이루어진 영화이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뜨겁습니다. ‘지슬’은 또한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독립영화제인 ‘선댄스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여 더욱 화제가 되었는데요. ▶ '지슬'은 제주 영화'의 쾌거, 오멸 감독을 만나다 (미디어스) ▶ 영화 '지슬' 6만 관객 달성 목전 "섬세하고 강렬한 영상" (한국일보) [출처-서울신문] 마침내 변방의 우짖는 새의 노래에 세계가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량과 귀것들이 모여 한바탕 자파리하다가 제라허게 사건 하나 쳤다. 오멸(..

2013. 4. 3. 09:38
대기업 문화산업 확장, 목소리를 내야 하는 이유

최근 모든 산업이 대형화되고 통합되고 있습니다. SSM 등 지역 상권이 대형 마트로 통합되는 것처럼 문화 산업 분야도 대기업에 의해 대형화되고 있죠. 가장 많은 분들이 문화생활로 즐기는 웹툰과 영화만 해도 그렇습니다. 최근 네이버는 웹툰에 대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역할을 넘어 기획부터 유통까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웹툰 내 간접 광고 수익 배분을 골자로 하는 새 수익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CJ가 운영하는 국내 최대 영화 체인인 CGV는 블록버스터부터 독립영화까지 아우르고 있죠. 과연 이런 대기업의 문화산업 확장은 문화 독점의 폐해가 클까요? 아니면 문화양성의 순기능이 클까요? [출처 – 서울신문] 대기업 문화산업 확장의 순기능. 창작자에게 확실한 수익원 제공 네이버는 하루 1,800만 명이 방문하..

2013. 4. 2. 13:20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신문 활용법

지난 금요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법’ 특강이 서경대학교 혜인관 209호에서 열렸습니다. 연사는 서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스토리텔링 창작법을 강의하고 있으신 조정래 교수님입니다.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법이라, 딱딱하기만 할 것 같은 신문에서 스토리텔링을 찾는다니 좀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이죠? 그러나 사실 신문기사 만큼 이야기를 잘 드러내면서 구조가 잘 잡혀있는 글은 없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왜 스토리텔링을 창작해야 하는지, 스토리텔링은 어떻게 해야 하며 신문은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살펴볼까요? 이제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현대사회에 들어 스토리텔링은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학교에서도 더 이상 일방적인 수업이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2013. 4. 1. 13:15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만우절 기사 모아보니

피노키오가 거짓말을 해도 코가 늘어나지 않을 것 같은 날이 있습니다. 바로 4월 1일 만우절인데요. 외국에서는 에이프릴풀스데이(April Fool's day)로도 불리기도 한답니다. 만우절의 재미 중 하나는, 진실만을 보도해야 할 것 같은 언론에서도 만우절 특집 기사를 준비한다는 점입니다. 현실적으로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만, 진실성을 바탕으로 둔 언론에서 보고하는 만우절 특집기사에 많은 독자에게 만우절의 또 다른 묘미를 느끼게 해주는데요. 그렇다면 오늘은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만우절 신문기사들의 이모저모를 살펴볼까요? ▲만우절 이적설에 휩싸였던 호날두[출처-서울신문] 역대 만우절 특집기사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끈 기사는? 1957년 에서는 한 가지 흥미로운 보도를 합니다. 스파게티가 나무에서 열린다는..

2013. 4. 1. 09:15
1 ··· 404 405 406 407 408 409 410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