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 신문읽기 NIE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뉴스를 활용한 현상기반학습 활동

    2018.04.26
  • 독일과 프랑스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2018.04.24
  • 독일의 민주시민교육과 미디어교육

    2018.04.19
  •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2

    2018.04.13
  • 공교육 내 미디어교육 구현 가능성

    2018.04.09
  • 언론진흥재단 지원, ‘평창동계올림픽 청소년 기자체험’ 운영 후기

    2018.04.03
뉴스를 활용한 현상기반학습 활동

지난 3월 7일과 9일, 이틀에 걸쳐 ‘현상기반학습(PBL) 발표회’가 진행됐다. 공교육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현상기반학습 활동 사례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뉴스활용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권영부(서울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학교 현장에서 뉴스는 다양한 교과에 보조교재로 활용되며, 특히 논·구술과 진로 관련 포트폴리오 만들기, 경제·금융교육, 인성교육 등에서 한몫을 하고 있다. 최근에 뉴스 이해, 뉴스 생태계와 미디어의 이해, 뉴스에 대한 책임과 권리 등을 다루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강조되면서 자연스레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뉴스 자체가 교과목은 아니다. 이 때문에 일선 학교에서는 적극적인 뉴스 활용을 망설인다. 그러나 교과 시간에 활용하는 것이 힘들면..

2018. 4. 26. 17:36
독일과 프랑스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본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편찬한 「해외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연구」(강진숙·조재희·정수영‧박성우, 2017) 연구보고서에 근거하여 일부 수정‧정리한 것이다.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사회적 능력(soziale Kompetenzen)을 촉진하고, 안전한 사회적 만남을 위해서는 먼저 마음의 문을 열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오스트리아 물리학자의 전통을 계승한 루트비히 볼츠만 학회(LBG)와 칼 란트슈타이너 사립 보건과학대학교(KL)가 공동 연구한 D.O.T 연구보고서 중에서 언급된 말이다. ‘마음의 문’을 여는 작업은 사회적 만남에서 오는 고통과 문제, 나아가 폭력의 경험까지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을 헤아리는 중요한 건강 교육의 출발점이다. 미디어교육도 이와 같다. 일차적 ..

2018. 4. 24. 18:49
독일의 민주시민교육과 미디어교육

독일의 민주시민교육과 미디어교육은 공공‧민간 영역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사회를 통합시키고,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본 글을 통해 독일의 민주시민교육과 미디어교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심영섭(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겸임교수) 미디어를 이용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독일의 미디어교육은 ‘미디어 활용능력(Medienkompetenz)’ 배양 중심이다. 이러한 미디어 활용능력 배양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Moser, 1999, p.64~67). 첫째, 미디어가 전달하는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미디어가 이용하는 언어를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미디어 논리를 이해하고, 이를 판단하..

2018. 4. 19. 14:23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2

미디어 메시지가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은 미디어의 핵심개념이다. 이에 우리는 ‘누가 의도적으로 만들었는가?’, ‘그 저자는 믿을 만 한가?’ 등의 세부 질문을 던져보며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신문 기사,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만화책 등과 같은 미디어 텍스트는 우연히 혹은 자연스럽게 생성된 것이 아니다. 빌딩이나 고속도로를 건설할 때 특별한 목적을 위해 정밀하게 설계된 도면에 따라 만드는 것처럼 미디어 텍스트 역시 누군가가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진실처럼 보이는 뉴스조차도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을 늘 유의해야 한다.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비판적 사고는 ‘누가 그것을 만들었는가..

2018. 4. 13. 16:52
공교육 내 미디어교육 구현 가능성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서 ‘민주시민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는 구현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서 민주시민 교육이 변하고 있다. 이에 미디어교육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해본다. 김성천(교육정책디자인 연구소장) 교육기본법 제2조에는 교육 목적을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으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간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

2018. 4. 9. 10:54
언론진흥재단 지원, ‘평창동계올림픽 청소년 기자체험’ 운영 후기

언론진흥재단은 평창 올림픽 성공 개최와 청소년 미디어교육을 결합한 ‘평창 동계올림픽 청소년 기자체험’ 프로그램 운영 신문사를 권역별로 1개 사씩 선정, 지원하였다.(서울: 한겨레, 경기: 경기일보, 강원: 강원도민일보, 충청: 중부일보, 경북: 매일신문, 경남: 경남도민일보, 호남: 무등일보) 이 글은 지난 2월 진행한 강원도민일보의 ‘평창올림픽 청소년 기자체험’ 프로그램 활동 후기를 정리한 것이다. 박미현(강원도민일보 기획위원실장) “작년부터 기사 보는 것이 좋아, 이번 기회에 신청해보았다. 밥도 맛있고, 선생님도 친절해서 너무 좋았다.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직접 취재한 것이 인상 깊었다. 강원도민일보도 이제 둘러볼 텐데 기대가 된다. 나도 여기에 다니고 싶다.” - 박가..

2018. 4. 3. 17:31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