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이벤트 뉴스 미디어 신문 공모전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언론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18.02.13
  • [EVENT]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2018.02.08
  • 사회 미디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8.02.06
  • 프랑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현황

    2018.02.01
  • 미디어 리터러시 홍보 영상 ‘대도박스’ 제작 후기

    2018.01.30
  • 미국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현황

    2018.01.25
언론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교실에서 선생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학생들 스스로 매체의 콘텐츠 생산자로 참여하여 현장을 취재하고 기사를 쓰면서 스스로 뉴스 리터러시를 배우는 공간이 있다. 중앙일보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매체 과 의 학생기자로 활동하는 학생들의 성장 이야기를 현직 기자가 직접 전한다. 황정옥(중앙일보 청소년매체 팀장)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손쉽게 콘텐츠를 만드는 시대입니다. 하루에도 수천 아니 수억 개의 콘텐츠가 생산되고 유통되죠. 누구와 만나서 어떤 음식을 먹으며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와 같은, 과거라면 일기장 한 귀퉁이나 차지할 법한 사적인 내용부터 기업의 상태를 분석하고 미래 가치를 예측하는 고급 정보를 담은 리포트까지 그 종류와 깊이도 다양합니다. ..

2018. 2. 13. 11:00
[EVENT]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힘찬 응원의 소리를 평창까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2월 9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17일간의 힘찬 여정을 시작하는데요! 여정에 함께할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을 향해 따뜻한 응원의 메시지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평창 동계올림픽 굿즈를 드립니다. 참여 방법 1.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및 이벤트 게시글 좋아요 누르기 2.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을 향한 응원 댓글 남기기 +친구 태그 + 공유 시 당첨 확률 UP~! 이벤트 기간 2월 8일(목) ~ 2월 18일(일) 까지 당첨자 발표 2월 20일(화) 상품 수호랑 파우치(30명), 평창 에코백(30명)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하기

2018. 2. 8. 16:28
사회 미디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우리 사회에서는 1970년대부터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하며 학교와 사회 영역에서 각자 독자적인 교육 모델과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왔다. 그동안 제도권 교육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힘입어 학교 미디어교육이 학문적, 정책적 조명을 받고 발전해 온 반면, 사회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장은미(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본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로 진행한 (김광재·장은미·강신규, 2017) 보고서를 요약한 것입니다.] 1970년대 학술 영역에서 간헐적으로 논의돼 오던 미디어교육은 1980년대 이후 시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배양의 필요성 대두와 함께 본격화됐다. 더불어 미디어교육에 대한 논의는 점차 고도화되고 분화되어, 학교와 사회 영역에서 각자 독..

2018. 2. 6. 11:00
프랑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현황

미디어교육의 강자 프랑스에서는 오래전부터 비판적 뉴스 소비와 콘텐츠 제작에 중점을 둔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랑스에서 최근 미디어교육의 범위가 ‘미디어교육’에서 ‘미디어와 정보 교육’으로 확장됐다. 디지털 시대 보다 자율적이며 능수능란하게 정보를 이용할 줄 아는 능력이 시민들에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진민정(저널리즘학연구소 연구이사) 프랑스는 ‘뉴스 리터러시’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오래전부터 비판적 뉴스 소비와 생산에 중점을 둔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민주 시민을 위한 자질 형성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한 미디어교육의 전통은 19세기 청소년 저널에서 출발했다. 대혁명 이전에 탄생한 청소년 저널은 1820년대에 황금기를 누렸다. 당시 이러한 청소년 저널의 목적은 지식을 전달..

2018. 2. 1. 11:00
미디어 리터러시 홍보 영상 ‘대도박스’ 제작 후기

전 세계적으로 가짜 뉴스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 리터러시의 중요성과 가짜 뉴스 분별법을 소재로 한 영상을 제작해 홍보하고 있다. 작년 10월 21일에는 인기 유튜버 대도서관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뉴스 리터러시의 개념을 알려주고 ‘가짜 뉴스 분별’하는 방법을 퀴즈 형식으로 진행했다. 뉴스 리터러시와 만난 ‘대도박스’의 제작 뒷이야기를 들어본다. 변소희(CJ E&M 대리) 온 나라가 들썩였던 2016년 겨울,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또 다른 주인공은 가짜 뉴스였던 것 같다. 메신저를 통해, SNS를 통해, 굳이 찾지 않아도 진짜와 가짜가 뒤섞인 자극적인 정보들이 계속 업데이트 됐다. 이런 정보들이 다시 기사화되어 사실인 양 유통되기도 하고, 일부러 그런 기사들을 만들어내며 사람..

2018. 1. 30. 14:00
미국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현황

미국은 일찍이 1920년대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태동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런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분야에서 최근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빠르게 성장하는 영역을 꼽으라면 역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미국에서 뉴스 리터러시가 태동한 과정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짚어본다. 홍원식(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미국은 일찍이 영화 산업이 처음 등장한 1920년대부터 이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태동했을 정도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곳이다. 거칠게 요약하자면, 미국 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흐름은 미디어 산업의 거대 자본 권력으로부터 강요되는 인지적 왜곡과 이에 대한 비판적 이해에 주목하는 ‘보호주의적 패러다임’, 이용자들이 사회 참여와 ..

2018. 1. 25. 11:00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