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뉴스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책 독서 공모전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민주시민의 필수 역량, 미디어 리터러시

    2018.03.30
  • 유럽평의회, 미디어 다원주의와 소유 투명성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발표

    2018.03.28
  • 가짜 뉴스를 통한 초등 미디어교육

    2018.03.22
  •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1

    2018.03.16
  •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조이

    2018.03.14
  • [당첨자 발표]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2018.02.20
민주시민의 필수 역량,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환경이 급변 하면서 뉴스 소비 형태 역시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는 콘텐츠 유통과 이용 방식의 혁신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가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사회의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바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다. 유홍식(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미디어와 그 관련 기술은 자고 일어나면 바뀌어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로봇이 작성한 스포츠, 증권, 기업실적 뉴스가 등장하였고, 음성 기반의 AI 스피커로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본방사수’라는 말은 옛말이 되고, 1회부터 마지막 회까지 한 번에 몰아볼 수 있는 영상 서비스가 호응을 얻고 있다. 기존 방송프로..

2018. 3. 30. 16:37
유럽평의회, 미디어 다원주의와 소유 투명성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 발표

유럽평의회에서 발표한 '미디어 다원주의와 소유의 투명성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은 미디어교육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에 많은 귀감이 된다. 이에 일부 조항과 세부 지침을 살펴보고자 한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유럽평의회는 지난 3월 8일, EU 회원국들의 미디어 다원주의와 소유의 투명성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현재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미디어 전반의 역할과 다원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이 가이드라인은 다원성과 함께 투명하고 참여적인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실천 전략을 담고 있다. 가이드라인 발표 현장을 취재하는 기자들 13개의 조항 전문과 권고안, 그리고 부칙들로 구성된 이 가이드라인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

2018. 3. 28. 11:40
가짜 뉴스를 통한 초등 미디어교육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에서 6대 핵심역량 중 하나로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제시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평가‧비판하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비판적 사고’를 반영한 초등학생 대상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성철(부산 주감초등학교 교사) “선화공주님은 남몰래 시집가서 밤마다 몰래 서동과 만난대요.” 천 년도 넘은 이 향가에 얽힌 이야기는 백제 무왕이 된 서동의 훌륭한 지략과 상남자 로맨스를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서동요는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의 요건을 충족한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 최초의 가짜 뉴스(?)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고 있으니, 미디어교육을 고민하는 교사가 보기에 서동은 참으로 괘씸한 위인이다. 지난 미국 대선에서는 서동요..

2018. 3. 22. 18:02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1

우리나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지만, 비판적 사고가 여전히 뒤로 밀려나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제는 우리가 비판적 사고에 대해 논의해야 할 때라고 생각하며, 이에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원리와 방법, 그리고 적용사례를 시리즈로 전한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미디어교육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40년 남짓에 불과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전국적으로 최신 설비를 갖춘 미디어교육 센터만 해도 현재 40여 개에 이르는가 하면, 국회는 미디어교육의 체계적 지원을 위해 법 제정에 나서기까지 하고 있다. 또, 교육계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지식정보처리 역량과 함께 그 하위..

2018. 3. 16. 18:25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조이

지난 호에 이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해 9월 주최한 전국 초‧중‧고‧대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 수기’ 공모전 수상작을 소개한다. 이번에 소개할 글의 주인공은 초등부 금상을 차지한 이조이 학생이다. 이조이(홈스쿨, 초등 6학년) 저는 홈스쿨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이조이라고 합니다. 학교에서 과목별로 공부하는 것처럼 우리 집 홈스쿨 과목 중에는 NIE 과목이 있습니다. NIE를 처음 알게 된 건 어머니를 통해서였습니다. 어머니께서 NIE에 관심을 가지면서 저는 신문을 이용해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신문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내용을 대충 읽거나 만화만 봤었는데, NIE를 시작하면서부터 신문에 다양한 내용이 있으며, 세상에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

2018. 3. 14. 20:10
[당첨자 발표]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화려한 개막식을 지나 열정적인 경기가 이어지고 있는 평창 동계올림픽! 연이어 우리나라에 기쁜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여러분들의 응원이 많은 힘이 되지 않았을까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페이스북에서 당첨자 확인하기☜ 당첨자분들께서는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메시지로 (평창 이벤트/이름/연락처/주소/개인 정보 사용에 동의합니다) 문구를 보내주세요! * 2월 27일(화)까지 회신이 없으면 당첨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 개인 정보는 상품 발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상품은 2월 28일부터 순차적으로 발송될 예정입니다.

2018. 2. 20. 18:56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