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미디어 NIE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다독다독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인생의 깊이를 아는 할배·할매가 아름답다

    2015.04.10
  • 신문 배달의 세대교체, 10대 고학생과 30~40대 주부 그리고 60대 노인

    2015.04.09
  • 남성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뜬다

    2015.04.09
  • 빌려서 베끼고, 돌려 읽고, 외우고, 낭독하고

    2015.04.08
  • 케이팝스타 시즌 4의 이진아 돌풍을 이야기하다

    2015.04.08
  • 아주 오래된 구두 뉴스(oral news)의 역사

    2015.04.07
인생의 깊이를 아는 할배·할매가 아름답다

필요한 물품을 가방에 짊어지고 가볍게 떠나는 배낭여행은 젊은이들만의 소유인 듯 했습니다. 그러나 2013년에 시작된 TVN ‘꽃보다 할배’의 영향으로 배낭여행은 젊을 때 아니면 갈 수 없다던 인식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평균연령 70대인 할아버지들의 좌충우돌 배낭여행기는 제2의 인생이라는 중년의 삶을 화려하고 멋지게 재설계할 수 있도록 판도를 마련해줬습니다. 효도 관광이 아닌 배낭여행 흔히들 나이들면 여행을 가도 고생이니 젊었을 때 많이 놀아두라고 합니다. 아마도 체력이 따라주지 않기 때문이겠죠. 그러나 체력의 한계는 생각하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꽃보다 할배에서 보여줬습니다. 그 동안 중장년층의 여행은 단체로 모여 버스를 대절해 여행을 가거나 패키지 상품으로 누군가를 따라다니며 여행하는 형식이었습니다...

2015. 4. 10. 09:00
신문 배달의 세대교체, 10대 고학생과 30~40대 주부 그리고 60대 노인

10여년 전만해도 볼 수 있었던 지하철 신문판매원 지금은 사라진, 신문과 관련한 일상적 풍경 하나. 제 기억으론 불과 2000년대 초반까지도 서울 시내 지하철 안에서 판매원으로부터 신문을 살 수 있었습니다. 신문판매원들이 당일 점심이나 오후에 나온 내일 날짜의 스포츠신문이나 일간지(석간 및 초판)를 옆구리에 낀 채 열차 안에서 특유의 어투로 신문 제호를 나지막하게 읊조리고 다닙니다. 그러면 퇴근길에 마땅한 오락거리가 없어 심심하던 승객들이 신문을 사보곤 했죠(당시 한 부 가격은 5백 원이었던 것 같네요). 무가지의 등장으로 유료신문이 외면 받고 스마트폰의 여파로 종이신문이 밀려나면서 판매원은 고사하고 신문 보는 사람조차 이제는 지하철 안에서 구경하기 힘들게 됐지만요. 성실한 고학생 이미지…1980년, 고..

2015. 4. 9. 14:00
남성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뜬다

아버지는 늘 볼 방송이 없다며 TV 앞에서 투덜대셨습니다. 9시 뉴스나 스포츠 경기를 보실 때 빼고는 험담 아닌 험담을 늘어놓으며 결국 TV를 끄곤 하셨죠. 반대로 어머니는 드라마나 코미디 프로를 보시며 하하 호호 혼자 TV 속으로 빠져듭니다. 두 분이 같이 보는 프로는 하나도 없던 셈이지요. 부부 사이를 갈라놓은 시초가 방송 프로그램 때문이라고 한다면 너무 억지스러울까요. 여성들이 모이면 주로 가십거리나 각자의 생활에 관련된 얘기를 주고 받는가하면 남성들은 군대 얘기나 자동차 얘기를 주로 한다지요. 그러나 최근엔 방송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남성들이 방송을 따라 요리를 배우기도 하고 어젯밤에 본 프로그램 얘기로 수다를 떨기도 합니다. 신기하게도 여자들이 제일 싫어한다는 남자들의 군대 얘기가 최근 방송 프로..

2015. 4. 9. 09:00
빌려서 베끼고, 돌려 읽고, 외우고, 낭독하고

조선인들의 책 구입 열기 “조선 사람들은 책을 좋아하여 사신들이 중국 땅에 올 때 옛 책과 새 책, 패관소설(稗官小說), 그리고 그들 나라에 없는 것들을 시중에 나가 서목을 베끼고 또 책이 비싸다 하여도 아까워하지 않고 구입해 돌아가므로 오히려 그들 나라에 이서(異書)가 많다.” 16세기 중국 명나라의 문인 진계유가 사신으로 들어온 조선인들의 책 구입 열기에 대해 표현한 이야기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책의 출판과 판매가 활발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선비들은 중국에 가는 사신을 통해 책 구입을 부탁하여 몇 년을 기다렸다는 사실이 김택룡의 『조성당일기』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조성당일기』에는 김택룡이 3년 만에 구한 『성리대전(性理大全)』, 『통감(通鑑)』, 『송감(宋鑑)』등을 장정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겉표..

2015. 4. 8. 14:00
케이팝스타 시즌 4의 이진아 돌풍을 이야기하다

지난 일요일 케이팝스타 세미파이널에서 이진아가 최종탈락 했습니다. 메달로 치자면 동메달을 받은 것인데요. 이진아의 동메달은 왠지 더 의미있어 보입니다. 이진아가 남겨준 두 가지 잔상이 머리를 떠나지 않습니다. 첫 번째는 권진아와 콜라보 무대로 선보인 무대에서 들려준 이진아의 자작곡 두 곡입니다. 오디션 과정에서 선보였던 이진아의 자작곡 “마음대로”와 “시간아 천천히”를 들려줬는데요. 얼마나 좋은 곡들인지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되더군요. 그날 이후 마음대로의 멜로디가 머릿속을 떠나지 않습니다. 두 번째는 이진아의 마지막 소감입니다. 아쉬운 평을 많이 받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래도 제가 하고 싶었던 것을 했기 때문에 괜찮다. 이렇게 큰 무대를 만들어준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이야기한 것입니다. ..

2015. 4. 8. 06:21
아주 오래된 구두 뉴스(oral news)의 역사

인류가 영원히 사용할 미디어 ‘말’ ‘말(language)’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미디어이자, 인류가 영원히 사용할 미디어이기도 합니다. 인류가 사는 곳이 아무것도 없는 진공의 상태가 된다면 ‘말’은 더 이상 인류의 미디어가 될 수 없을 겁니다. ‘말’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리 기호입니다. 하지만 말은 그 장소 그 시간에서만 들을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문자가 없던 시절에도 정보는 말로서 전해졌습니다. 현재에도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의 오지에서는 여전히 말을 통해 정보와 지식이 전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자 없는 사람들도 얼마나 빠르게 뉴스를 전달시키는지에 대한 사례가 미첼 스티븐스(Michell Stephens)의 ..

2015. 4. 7. 14:00
1 ··· 268 269 270 271 272 273 274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