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스마트폰 뉴스 미디어 기자 NIE 신문읽기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9)

  • 비전문가를 위한 가짜뉴스 판별 도구

    2021.01.22
  •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참가자들이 말하는 뉴스일기를 통해 배우고 싶은 점!

    2021.01.22
  • 미디어 리터러시 SNS 만족도 조사 이벤트

    2021.01.21
  • 이론과 실습이 조화로운 ‘허위정보 분별 교육’,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에서!

    2021.01.21
  •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2021.01.18
  • 온라인으로 함께 외친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MIL’

    2021.01.15
비전문가를 위한 가짜뉴스 판별 도구

비전문가를 위한 가짜뉴스 판별 도구 대학생이 만든 팩트체킹 웹 사이트 ‘올체커’ 지금 내가 보고 있는 뉴스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아리송할 때 쉽게 팩트체킹 해볼 수 있는 웹 사이트가 있다면? 이런 질문을 던지고 직접 해결에 나선 대학생들이 있다. 경인교대 컴퓨터교육과 전공 학생들이 개발한 일반 시민을 위한 팩트체크 사이트 ‘올체커’를 소개한다. 글 최유리 (경인교대 2학년) 우리는 가짜뉴스를 다룰 인력이 부족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이 보편화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시민이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팩트체킹 사이트를 고안했다. 한 손에 미디어를 담고 살아가는 사회에서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누구나 정보를 제작하고 공유할 수 ..

2021. 1. 22. 15:51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참가자들이 말하는 뉴스일기를 통해 배우고 싶은 점!

공모전 참가자들이 말하는 뉴스일기를 작성하며 배우고 싶은 점! 제2회 공모전이 중반부에 접어들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뉴스일기를 작성하며 참여하고 계신데요! 어떤 계기로 뉴스일기를 시작하게 되었을까요? 여러분은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에 참여하여 어떤 것을 배우고 싶나요? 직접 그 답을 들어보았습니다!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라는 것을 알면 좋겠어요(홍수지님)” 다양한 뉴스를 읽으며 하나의 사건에 대해서도 여러 시각이 존재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동시에 나의 입장은 어떤지 정리해보는 것도 좋겠죠? “사실 여부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고 확인하는 능력(민지훈님)” 뉴스의 내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훈련도 가능하죠~! “선입견이 없는 통찰력(서윤하님)” 편하고 익숙한 방법으로만 뉴스를 소비..

2021. 1. 22. 14:45
미디어 리터러시 SNS 만족도 조사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 공식 SNS 채널에 대해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2021 신축년에는 보다 더 친근하게 소통하고, 맞춤형 정보를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되겠습니다. 🥰 ✅참여방법 1) 만족도 조사 링크 접속 ▶ http://naver.me/FFv0noYV 2) 개인정보 입력 후 문항 작성 ✅이벤트 기간 : 1월 21일(목)~ 1월 28일(목) ✅당첨자 발표 : 1월 29일(금) ✅경품 : BHC 후라이드 치킨+콜라 1.25L 기프티콘 (20명) 🍗

2021. 1. 21. 18:09
이론과 실습이 조화로운 ‘허위정보 분별 교육’,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에서!

이론과 실습이 조화로운 ‘허위정보 분별 교육’ 서울대 팩트체크센터의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 2020년 10월 31일~11월 1일 서울대학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는 온라인으로 서울 시내 고등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을 진행했다. 언론사-대학의 협업 팩트체크 플랫폼을 운영하는 SNU팩트체크센터에서 교육적 일환으로 처음 시도해본 프로그램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대학·지역사회 연계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교육적 시도를 해볼 수 있었다. 청소년 팩트체크 스쿨의 내용과 성과, 시사점을 공유한다. 글 양소은 (서울대 SNU팩트체크센터 연구원) 여러 수준의 팩트체크 교육 실습에 대한 기본적 틀과 지도안이 마련되어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2021. 1. 21. 17:23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국내 미디어 업계의 미디어교육 참여 현황 및 과제 2020년은 예고도 없이 비대면 원격 교육이 갑자기 시작되면서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한 해였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와 해외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긴급 점검해보고, 특히 미디어 업계의 교육 참여 정도를 비교해보는 자리를 준비했다. 글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미디어 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미디어와 관련된 기관이나 단체 그리고 기업은 건전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것과 더불어 미디어 이용자를 위한 보편적 미디어교육에 대한 책임이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가장 큰 특징이 여러 유형의 공공 자산을 사용해 발생하는 ‘공공재’이거나 혹은 ‘공공재적인’ 성격을..

2021. 1. 18. 16:07
온라인으로 함께 외친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MIL’

온라인으로 함께 외친 ‘모두를 위한 모두에 의한 MIL’ ‘2020년 글로벌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주간’ 대표회의 유네스코와 우리나라가 공동 개최하는 ‘2020 글로벌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주간’ 행사가 2020년 10월 26일부터 5일간 진행됐다. 한국의 유네스코 가입 70주년을 맞아 개최되어 더욱 의미가 있었던 이번 행사 중 대표회의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박다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커뮤니케이션팀 전문관) 싱취 유네스코 부사무총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MIL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역량임을 강조했다. 코로나와 같은 질병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허위정보는 인류의 목숨을 위협하고 사회적 분열을 조장한다고 설명했다. 살면서 힘들 때 아무 소원이나 빌지 말자. 유네스코 관련 국제회의 개최 실무..

2021. 1. 15. 16:08
1 ··· 79 80 81 82 83 84 85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