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45)
-
학생들이 원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윤리적이고 안전한’ 미디어 이용법 알려주세요 눈높이 학습. 수학이나 영어에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도 교육 수혜자인 학생들이 정말 원하는 수업은 따로 있는 것 같다.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 강사가 초등, 중등, 고등별로 학생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았다. 박미영 한국NIE협회 대표 “‘우클스샷’ 방지하는 것 배우고 싶어요.”“오잉? 우...ㅅ...뭘 배우고 싶다고? 다시 말해볼래?”“우.클.스.샷 이요”“그게 뭔데?”“우하하~쓰앵님이 그것도 모른대요~ 우하하” 동시화의 실패10여 년 전,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부의 미래》에서 유기체가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속도를 자동차에 비유했다. 기업은 시속 100마일, 학교는 10마일, 법은 1마일로 달린다며 이렇게 적응 속도가 다른 것을 ‘..
2019.03.12 -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 원리로 돌아본 ‘SKY 캐슬’
과열 입시와 사교육 폐해, 스스로 알아서 해결하라? JTBC 드라마 ‘SKY 캐슬’이 종영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그에 대한 열풍은 여전히 식지 않았으며, 세간의 반응도 호평 일색이다. 높은 인기를 구가하는 ‘SKY 캐슬’은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미와 원리를 교수·학습하는 데 유용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SKY 캐슬’을 분석해 봤다. 황치성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언론학 박사 JTBC에서 방영한 드라마 ‘SKY 캐슬’이 종영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그에 대한 열풍은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20부작 최종회의 시청률 23.8%라는 수치가 말해주듯 그에 대한 세간의 반응도 호평 일색이다. ‘입시에 목매는 한국 사회의 현실을 풍자한 다..
2019.03.05 -
집에서 할 수 있는 NIE 교수법
김우주,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NIE(News in Education)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자녀를 직접 교육하고 싶어 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NIE 전문 강사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집에서도 할 수 있는 NIE 교수법'을 소개합니다. #부모라면 누구나 최고의 선생님이 될 수 있다 NIE(News in Education)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나오면서 점차 NIE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집에서 자신의 자녀를 대상으로 NIE 교육을 지도해보고 싶다는 부모님들의 글을 인터넷에서 심심치 않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러나 NIE 교수법에 대한 전문성의 문제 때문에 교육의 방향성이나 유의점을 알지 못해 불안해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남영희 ..
2016.07.21 -
'쉬운' 영자신문 기사 쓰기가 '어렵다'?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주니어헤럴드 에디터 편하게 누워서 휴대폰으로 웹툰을 보면 어떤가요? 머리가 지끈거리거나 온몸이 쑤시거나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까요? 제 예상은 대다수에게 즐거운 경험이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부담이 적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만약 내일 볼 시험문제 내용이 적혀있는 책을 읽으면 어떻게 될까요? 그것도 매우 어려운 내용이 가득 들어있는 문장들입니다. 문장도 길고 복잡합니다. 게다가… 영어 문장들입니다. 아마 누워서 읽더라도 고통스러워서 데굴데굴 방안을 굴러다닐 듯 합니다. 정신적으로 매우 피곤하고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어렵고 복잡한 문장을 읽거나 쓰게 되면, 게다가 외국어로 그 문장을 해독하거나 하면 우리의 뇌에게는 매우 좋은 ‘약’이 됩니다. 힘들기는 하지만 치매 예방에 좋다고 ..
2016.05.26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8) 이탈리아·룩셈부르크·네덜란드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이탈리아·룩셈부르크·네덜란드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이탈리아 ‘신문교실’ 프로그램 이탈리아에서 일 세콜로 ⅩⅨ의 ‘신문교실’ 프로그램은 식사 후 커피를 마시는 것처럼 일상화되어 있습니다. 신문교실은 매일 아침 7시 30분에서 9시 사이 160개 초·중·고에 무료 신문을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2시간으로 구성 된 수업에 취재기자, 사진기자, 학습 코디네이터 등이 투입되어 신문과 저널리즘에 대한 기본 강의와 자유로운 질문, 토론이 이루어집니다. 수업 후에는 과제물이 부여되고 우수한 기사는 ..
2016.04.28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7) 독일·헝가리·아일랜드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 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편에는 독일·헝가리·아일랜드의 사례를 살펴봅니다. #독일의 ‘차이퉁스 차이트’ 프로그램 독일의 신문활용교육(NIE)은 1979년 실행된 이후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초기에는 8학년에서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후에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고등학생과 유치원생에게까지 확대되었습니다. 1) 차이퉁스 차이트(Zeitungs Zeit) : 최초의 NIE 프로젝트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정부와 그 지역 53개 출판사가 2006년 처음 시작한 대규모 캠페인 형태의 프로젝트입..
2016.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