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70)
-
취업을 앞둔 대학생이 말한 신문읽기의 중요성
“신문이라는 자신감 갖고” 수요일 오후 3시. 강의가 시작하기까지 10분 정도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강의실에는 빈자리 하나 없이 이미 학생들로 꽉 차 있었다. 앉을 자리가 부족해 뒤에 서있는 학생들도 있었다. 내가 기억하는 ‘신문으로 국제사회 읽기’ 첫 수업 강의실의 풍경이다. 80명 정원이었지만 강의실에 들어선 학생들은 이미 그 수를 넘었었다. 이렇게 많은 학생들의 관심 속에 교양과목 ‘신문으로 국제사회 읽기’ 수업은 시작되었다. ‘신문으로 국제사회 읽기’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대학 신문읽기 강좌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강의다. 이 강의는 뉴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종이신문과 멀어지고 있는 대학생들을 타깃으로, 신문매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물론 신문기사를 통해 격변하는 국제사회의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2011.08.03 -
블로그는 제2의 언론이 될 수 있을까?
요즘은 SNS, 블로그와 같은 매체를 이용해 사회적 이슈를 생산하는 1인 미디어 전성시대입니다. 그러다보니 개인의 영향력이 거대 미디어 그룹 못지 않은 이슈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가끔 블로그나 트위터에서 만들어진 이슈가 신문에 보도되며 확장되는 사례도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지금은 기존 언론사와 함께, 뉴미디어를 바탕으로 개인이 만드는 이슈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죠. 2009년 만들어진 한편의 영화에서는 이렇게 기존의 펜과 종이를 쓰던 기자와 블로그를 통해 활동하는 기자가 나와 활약을 펼치는 흥미진진한 과정을 담았었는데요. 바로 라는 영화입니다. 개봉 당시에는 지금처럼 개인 미디어의 힘이 강력하지 않았기에 블로그 기자에 대한 이야기가 다소 생소했었는데요. 지금 이 영화를 본다면, 펜과 ..
2011.07.21 -
혼수로 해온 42인치 TV, 과감하게 버린 이유
“세상에는 좋은 사각형과 나쁜 사각형이 있다. 좋은 사각형은 책과 신문이고, 나쁜 사각형은 컴퓨터와 TV이다.“ 공감하시나요? 이 말은 NIE 담당기자로서 제가 자주 언급하는 문구입니다. 부모들이 자녀가 TV를 보면 야단치지만 신문을 보거나 책을 보면 칭찬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죠. 책과 신문, 즉 ‘보는’것이 아닌 ‘읽는’ 매체는 그만큼 ‘교육적’이라는 뜻입니다. 저희 집에는 TV가 없습니다. 제가 이 이야기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의 반응은 한결같습니다. “불편하지 않냐?”고요. 네, 전혀 불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저는 주변 사람들에게 꼭 TV를 없애라고, 그게 어려우면 거실에서 TV를 치우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제가 결혼할 당시인 2003년엔 42인지 PDP 가격이 500여 만원이나 했었습니다. 5...
2011.07.20 -
우리 언론이 고쳐야 할 무책임함 ‘추측성 보도’
확인과 검증의 저널리즘-존 그리샴의 『펠리컨 브리프』 2 신문이나 방송 등 언론 기사나 보도를 읽거나 듣다보면 ‘……고 밝혔다’, ‘……고 말했다’, ‘……고 언급했다’ 등으로 끝나는 문장이 매우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말했다’, ‘언급했다’ 등의 표현은 영어로 하면 ‘said’ 정도로 쓸 수 있겠지요. 이 같은 표현이 포함된 기사나 보도가 많은 이유는 취재원, 전문가 등의 발표, 주장, 견해, 발언 등을 전하는 게 적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이 기사나 보도는 객관적이거나 공식적인 사실이나 의견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이 같은 기사나 보도는 ‘따옴표’ 저널리즘이라고 비판 받기도 합니다. 확인과 검증 없이 보도함으로써 잘못된 사실이나 주장을 전달하거나 강화시킬 수도 있기 ..
2011.07.15 -
워터게이트 사건이 오늘날 던지는 메시지는?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진정한 기자의 모습이란 어떤 것인가요? 묻혀진 진실을 파헤쳐 세상 밖으로 드러내는 정의로운 수퍼맨과 같은 모습을 생각하지 않나요? 바로 그런 기자정신에 사람들은 감동을 받고, 찬사를 보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거대한 진실을 밝히는 수퍼맨 같은 기자의 모습이 담긴 영화 한편을 소개할까 합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기에 더 흥미로운 영화인데요. 바로 이라는 제목의 영화입니다. 1976년 만들어진 이 영화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명한 ‘워터게이트 사건’을 밝혀낸 두 기자가 사건을 밝히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과연 이 영화에서 기자들은 어떻게 진실을 밝혀냈고, 그들이 보여주는 진정한 기자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요? ※워터게이트 사건※ 1972년 6월 대통령 R.M.닉슨의 재선을 획..
2011.07.07 -
북한 기자들의 선발 절차와 등급별 대우는?
한국에선 ‘언론고시’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기자가 되기 어렵습니다. 메이저 신문 방송의 경우 채용시험을 치를 때마다 수백 대 일의 경쟁이 벌어집니다. 그렇다면 북한에서 기자는 어떤 사람이 뽑히며 사회적 위상은 어떨까요? 북한 역시 기자가 되기 매우 힘듭니다. 그렇지만 아무 학부나 나와도 채용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으면 기자가 될 수 있는 남한과 달리 북한에선 관련 학과를 나온 졸업생 중에서 우수한 사람을 노동당에서 뽑아 언론사에 임명합니다. 북한 사회는 기자 뿐 아니라 모든 직업을 국가가 배치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입사시험이라는 것이 없습니다. 한국 대학에 신문방송학과 등 언론관련 학과들이 있는 것처럼 북한에도 조선어문학부 안에 신문학과가 따로 있습니다. 이중 가장 유리한 지위에 있는 것이 김일성종합대학..
201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