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손석희의 인터뷰 스타일은 공감형일까, 대결형일까?
대결 인터뷰-『펠리컨 브리프』 3 우리들이 접하는 수많은 기사 가운데 인터뷰가 들어가지 않은 경우가 얼마나 있을까요? 아마 많지 않을 겁니다. 숫자로 가득한 통계기사조차도 인터뷰가 들어가 있는 경우도 적지 않고, 기술과학의 최전선에 서 있는 기사조차 인터뷰가 들어가 있죠. 인터뷰가 없는 기사가 거의 없을 만큼 인터뷰는 기사를 구성하는 주요한 구성 요소가 됐습니다. 또 한발 더 나아가 팩트, 진실을 만들어내는 기제이기도 합니다. 수많은 기사가 인터뷰를 바탕으로 해 작성되고 있죠. 수많은 평범한 풀 기사, 기획기사, 특종 보도, 탐사보도 등 많은 기사들이 인터뷰를 통해 또는 인터뷰를 한 취재의 수단으로 삼아 작성돼 왔습니다. 그래서 심지어 신문 뉴스의 90% 이상은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다는 주장도 있지요(차..
2011.08.19 -
많이 알수록 실수하기 쉽다? ‘블라인드 스팟’ 효과 아시나요
[블라인드 스팟, 매들린 L. 반 헤케 지음, 임옥희 옮김, 다산초당, 2007.11.16] 인간은 대단한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전체를 보며 하나의 법칙을 만들고, 이를 통해 미래 모습을 예측할 수 있죠. 하지만 세상만사 공평하다고, 이런 능력이 마냥 좋은 것은 아닙니다. 관심 밖에 있는 것은 보지 못하고, 뭘 모르는지도 모른 채 살아가기도 하니까요. 그러다 어느 날, 자신의 믿음에 따라 낭떠러지를 향해 힘차게 달려가면...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제가 소개해드릴 책 의 저자는 인간의 이런 어리석은 행동이 ‘맹점(Blind Spot)'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맹점 자체를 문제라곤 하진 않습니다. 이로 인해 얻는 것도 많으며, 제거할 수 없기에 극복하자고 말합니다. 그는 이 책에서 맹점을 가..
2011.08.18 -
스마트폰으로 신문 볼 때, 연예인 기사만 보게 되는 이유
우리 가족의 신문 사랑 이야기를 들려드릴까 해요. 저희 엄마는 우리 동네 최고의 요리사이면서 최고의 선생님이세요. 아빠는 신문과 엄청 친한 회사원이죠.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셔서 TV 뉴스를 보고 신문도 읽은 뒤 출근하세요. 오빠 역시 아빠를 닮아서 신문을 무척 좋아하고 신문을 활용해서 공부도 해요. 오빠는 아침에 신문을 읽고 방과 후에 신문 기사를 스크랩하면서 사회, 과학, 역사 공부를 해요. 그래서 가끔 저는 오빠 방에 몰래 들어가 스크랩한 기사를 보는데 정말 신나요. 클리어 파일에 끼워져 있는 신문 기사들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요. 저도 오빠의 파일을 보면서 ‘나도 해봐야지!’ 했는데, 매일 학교 가랴, 학원 가랴, 숙제 하는데 지쳐서 그냥 자버리기 일쑤랍니다. 그래서 엄마, 아빠랑 이야기를 해봤..
2011.08.18 -
한국의 20대 젊은 부자들의 공통점 알아보니
TV드라마에 나오는 부자들의 삶은 화려하다. 명품 옷과 좋은 차를 몰고 다니며 호텔과 고급 음식점에서 돈을 펑펑 쓴다. 하지만 젊은 나이에 자수성가한 부자들에게는 먼 나라 이야기다. 기자는 지난 7월 소셜커머스업체, 인터넷쇼핑몰, 투자자문사, 주점 프랜차이즈 등을 경영하는 20~30대의 젊은 부자 7명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바 있다. 신현성 티켓몬스터 대표, 윤제환 머시따 대표, 신수진 딘트 대표, 손우빈 홉앤호프 대표, 김민국•최준철 VIP투자자문 공동대표, 오병진 남자F&B 이사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부모에게 재산을 물려받아 부자가 된 것이 아니다. 100만~1억 원 정도의 소자본으로 시작해 맨땅에서 성공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도전정신으로 똘똘 뭉쳐 있었다. 대부분의 젊은이..
2011.08.17 -
수능 D-85일, 수험생을 위한 신문활용 공부법
지난 주말이 말복이었죠? 무덥고 습한 날씨에 직장인이나 학생 할 것 없이 축축 늘어지는 요즘인데요. 하지만 이런 날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공부에 열중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올해 수능을 치르는 고3 수험생들이죠. 오늘은 수능 D-85일입니다. 긴 수험생활로 인해 자칫 해이해지기 쉬운 요즘, 막판 뒷심을 발휘해야 할 시기인데요. 지금쯤이면 웬만한 공부는 모두 끝내고 수능에 앞서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하는 단계에 접어들게 됩니다. 이 시기 수험공부에 신문이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신가요? 수능 시험 내용을 살펴보면 언어영역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다루는 사회탐구영역까지 신문에서 습득할 수 있는 지식을 요긴하게 활용 가능한 과목들이 많이 있는데요. 수험공부를 정리하는데 큰 도움..
2011.08.17 -
학교 교실에 신문이 있어야 하는 이유
지난 11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강의를 진행했던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담당 최정애 강사는 “신문은 학교와 사회에 관심을 갖도록 동기 부여하는 매체”라며 신문활용교육(NIE)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교사연수 4일차였던 이날 강의는 학교 현장에서 NIE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기법을 전달하는 시간이었는데요. 신문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즐거운 놀이와 사례를 통해 알아본 유익한 현장이었습니다. 신문을 아는 만큼 보이는 NIE 보통 우리는 처음 만난 사람과 친해지기 위해 그 사람을 알아가는 단계가 필요한데요. 이와 마찬가지로 NIE도 신문을 활용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신문을 알아가는 단계가..
201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