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미디어교육 신문 이벤트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NIE 뉴스 미디어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기업이 원하는 사회 흐름 짚어내는 인재되려면?

    2011.04.26
  • 기억력 상실의 시대, 가장 좋은 디지털 치매 예방법은?

    2011.04.26
  •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 안 읽는 이유, 통계로 알아보니

    2011.04.25
  • 우리 시대 신문은 왜 '지상 최후의 미디어'인가

    2011.04.22
  •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2011.04.21
  • 엄마의 목소리로 아이와 소통하는 ‘잠자리 동화책 교육’

    2011.04.21
기업이 원하는 사회 흐름 짚어내는 인재되려면?

신문 읽기의 중요성에 대해 칼럼을 의뢰받고 한참 고민했습니다. 사실 요즘 신문을 등한시하고 있기 때문에 양심에 찔렸기 때문이죠. 저도 한 때 언론사에 소속되어 하루에 10여종의 신문과 방송을 매일 몇 시간씩 몇 년간을 보았기 때문에 요즘의 공백은 좀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요즘 신세대와 같이 대학생활을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신세대물에 들어서 그런 것일까요? 아니면 워낙 디지털 미디어가 발전해서일까요. 사실 엄청난 디지털 매체 발전에 따라 신문 읽기의 필요성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는 블로그 매체라는 곳을 통해 매일 하루 한 개 이상의 글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로는 제 역할이 콘텐츠 소비자로서의 생활뿐 아니라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어찌 보면 창피..

2011. 4. 26. 13:18
기억력 상실의 시대, 가장 좋은 디지털 치매 예방법은?

얼마 전 온라인게임에 적용되는 ‘셧다운제’가 국회 법사위를 통과했다고 합니다. 셧다운제는 만 16세 미만 청소년들이 심야 시간에 게임에 접속하지 못하게 하는 법인데요. 밤 12시가 되면 접속이 끊어지도록 되어 있기에 일명 ‘신데렐라법’이라고도 합니다. 이 제도를 두고 게임업계와 정부의 입장은 상반되어 있는데요. 다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법적인 제재를 고려할만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나아가 인터넷 중독이 심각하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꼭 청소년층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닌데요. 하루라도 인터넷을 하지 않으면 불안을 느끼고, 한 번 접속하면 며칠이고 밤을 샐만큼 온라인 게임에 빠지며, 사람들과 어울려 대화를 나누는 대신 인터넷을 통한 피상적인 교류가 증가하는 등 모든 연령대에서 조금씩은 인터넷 의존..

2011. 4. 26. 09:21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 안 읽는 이유, 통계로 알아보니

최근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기기와 첨단기술은 문화 콘텐츠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는 출퇴근 시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인데요. 스마트폰 하나만으로도 새로운 뉴스 소식은 물론 게임과 책, 영화까지 즐길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죠. 이런 추세 때문에 자연스레 신문과 책을 읽는 사람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고, 젋은 세대에서는 전자책(E-Book)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종이책 위주의 독서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과 초•중•고등학생 3천명을 대상으로 ‘2010년 국민 독서실태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 만 18세 이상 성인의 연평균 독서율은 2009년보다 6..

2011. 4. 25. 09:15
우리 시대 신문은 왜 '지상 최후의 미디어'인가

“장마가 그치면 햇살 뜨거운 날들이 오리라는 것을 알듯이, 그렇게 세상의 흐름을 환하게 알고자 원했다.……민주화가 실현되면, 올림픽이 끝나면, 대통령이 바뀌면, 네티즌의 세상이 되면, 상업대중문화가 아이들의 영혼을 빼앗는다면 세상이 어떻게 될까 나름대로 생각도 해보고, 예측도 해보려 했다. 그러나 그동안 나는 늘 잘 알지도 못하는 거대한 흐름에 휩쓸려서, 미래를 예측하기보다는 내가 있는 자리가 어딘지도 알기 어려웠다. 세상의 변화는 과속이었고, 과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세상변화를 지켜봐온 한 50대 지식인의 고백이 와 닿습니다. 문학평론가 이남호의 책 (생각의나무, 2004)에서 털어놓은 말인데, 대중사회로의 변동, IT 정보화 사회로의 이동 이후 사람들은 기꺼이 휴대전화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사..

2011. 4. 22. 13:36
100대 1 경쟁 뚫은 신입기자의 신문활용 노하우는?

요즘 대학생들이 가장 관심 있어하는 분야 중 하나는 언론과 미디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신문방송학과’같은 언론분야 학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큰 뜻을 품고 좀 더 열정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빛내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아닐까요? 그래서 언론인이 되고 싶어하는 많은 학생들을 위해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하고 기자라는 꿈을 이룬 언론인을 만나봤는데요. 서울신문의 김소라 기자(26)를 만나 기자가 되기 위해 준비한 과정을 물어보고, 기자의 하루 일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미래의 언론인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어떤 말을 들려줬는지 김소라 기자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 힘든 만큼 보람도 큰 일이 기자 아닐까요? 작년 10월 4일 입사해 정신없던 6개월간의 수..

2011. 4. 21. 13:27
엄마의 목소리로 아이와 소통하는 ‘잠자리 동화책 교육’

어느 위인전을 보든, 육아서를 접하든 아이들 양육과 관련된 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잠자리 동화' 인데요. 솔직히 저도 제 아이가 18개월 되기 전까지는 잠자리 동화의 영향에 대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들을 알지 못했답니다. 그런데 누구나 다 아는 유명한 세계 위인들이며, 현존하는 존경스런 분들의 공통점을 찾다보면 꼭 유·아동기에 잠들기 전 부모님이 읽어주신 동화책 이야기가 빠짐없이 등장하더라구요. 그렇게 무의식적으로 동화되고 매료되어 읽어주기 시작한 '잠자리 동화' 독서도 습관이라고 하는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분명 습관도 중요하지만, 유아의 경우에는 얼마만큼 아이가 책읽기에 대해 긍정적이고, 자신의 선택이 반영되느냐에 따라서 잠자리동화가 주는 의미는 확연하게 달라진다고 생..

2011. 4. 21. 09:17
1 ···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