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2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뉴스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신문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신문읽기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이벤트 NIE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6)

  •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제작기

    2019.02.21
  • <미디어리터러시> 2018 겨울호 기획회의 참여 후기

    2019.02.19
  • 유네스코의 ‘2018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2019.02.16
  • 안전한 미디어 이용을 위해 지켜야 할 권리

    2019.02.14
  • ‘2018 미디어교육 국제회의(MES)’ 참가기

    2019.02.12
  • [연재] 미디어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Ⅳ

    2019.02.07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제작기

매주 일요일 오후 10시 30분에 방송되는 KBS 는 우리 사회의 언론 관련 이슈를 파헤치기 위한 기자들의 취재와 전문가 패널의 신랄한 토크로 호평을 받고 있다. 한국 저널리즘의 문제를 가감 없이 담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제작진의 제작 뒷이야기를 들어본다.정연우 KBS 기자 KBS는 지난해 역사상 가장 긴 파업을 벌였다. 140일 이상 지속한 파업은 일선 취재 현장의 기자들에게 취재의 의미와 소중함, 그리고 갈증을 일깨워 주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다시 새롭게 시작한 KBS는 보도·시사 프로그램의 정상화와 강화를 가장 먼저 내걸었다. 이러한 기치 아래 공영방송의 새로운 미디어비평 프로그램 가 시작할 수 있었다.KBS는 ‘미디어포커스’, ‘미디어비평’, ‘미디어인사이드’ 등 미디어비평 프로그램의 오랜..

2019. 2. 21. 12:00
<미디어리터러시> 2018 겨울호 기획회의 참여 후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간 웹진 주제와 미디어교육 신규 사업 아이디어를 얻고자 이용자 참여 이벤트를 진행했다. 필자는 이벤트를 통해 시민기획자로 선정되어 지난 10월 29일 2018 겨울호 기획회의에 참가했고, 그 경험을 나누고자 참가 후기를 정리했다. 오정원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를 구독한 지 벌써 2년이 다 되어갑니다. 학과 팀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다 처음 방문한 블로그는 이제 노트북을 열 때면, 가장 먼저 접속하여 새로운 게시글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처음부터 미디어교육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신문방송학부에 지원할 당시에는 어린이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PD가 되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수업을 들으면 들을수록 아이들에게 미디어를 통해 새로..

2019. 2. 19. 12:00
유네스코의 ‘2018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유네스코는 ‘모두를 위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를 진흥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10월 마지막 주를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으로 지정,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진흥을 위한 온·오프라인 캠페인, 국제회의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로 7회째 진행된 글로벌MIL주간을 소개한다. 김민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커뮤니케이션팀장 올해로 일곱 번째를 맞은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Week, 이하 ‘글로벌MIL주간’)은 리투아니아 카우나에서 10월 24~25일에 열린 ‘대표회의(Feature Conference)’를 비롯하여 시상식, 유스포럼, 각종 국내회의 및 국제회의, MIL 클릭스(MIL CLICKS) 캠페인 등 다양한..

2019. 2. 16. 12:00
안전한 미디어 이용을 위해 지켜야 할 권리

SNS가 발달하면서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는 개인의 신상 정보가 자신도 모르게 수집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보다 안전하고 책임 있는 미디어 이용을 위해 권리 보호 중심의 미디어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곽혜숙 한국정보화진흥원 책임연구원 이해를 돕기 위해 각색·과장된 부분이 있지만,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다. 보호자들의 무분별한 본인 및 자녀 일상 공개는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자 범죄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늑대에게 잡아먹힌 빨간모자와 할머니는 사냥꾼에 의해 구출되었지만, 부모의 입장에서 아찔한 순간이 아닐 수 없다.이뿐만이 아니다. 바꿔 생각해보면 빨간모자가 어른이 되었을 때 이 순간을 어떻게 기억할까? 나의 허락을 받지 않고 나의 일상을 공유한 ..

2019. 2. 14. 12:00
‘2018 미디어교육 국제회의(MES)’ 참가기

지난 11월 1~2일, 영국 본머스대학교 ‘미디어실천탁월성센터’ 주관 ‘2018 미디어교육 국제회의’가 홍콩에서 열렸다. 본 글에서는 2018 미디어교육 국제회의의 발표 주제를 개략적으로 정리해 살펴보고자 한다 김경래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과장 지난 11월 1일부터 2일까지 홍콩침례대학교에서 미디어교육 국제회의(Media Education Summit 2018 Hong Kong, 이하 MES)가 열렸다. MES는 영국 본머스대학교 ‘미디어실천탁월성센터(Centre for Excellence in Media Practice)’의 주관으로 매년 전 세계 미디어교육 및 관련 분야의 연구자, 교육자 등이 참여하는 행사다. 올해는 미디어실천탁월성센터와 홍콩침례대학교의 공동 주최로 아시아권에서는 처음으로 개..

2019. 2. 12. 12:00
[연재] 미디어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Ⅳ

미디어 메시지에는 항상 특정한 목적과 의도가 존재한다. 때문에 우리는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미디어 메시지가 ‘누구’에 의해서 ‘왜’ 만들어졌는지 다양한 질문을 던져보며 그 목적을 파악해야 한다. 황치성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누군가 메시지를 보낸다면 거기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누군가를 설득하거나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깨우쳐주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파워 동기와 관련이 있다. 두 번째는 무엇인가를 팔기 위해서다. 이것은 이익 동기와 관련이 있다. 세 번째는 파워와 이익을 동시에 얻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기들이 반드시 좋다거나 나쁘다고 단정할 순 없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메시지를 만들 때는 항상 목적이 존재한다는 ..

2019. 2. 7. 12:00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