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책 신문읽기 NIE 뉴스리터러시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스마트폰 기자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한 국가에서 여러 팀이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다?

    2014.06.13
  • 사실과 주관 사이, 역사는 과연 진실일까?

    2014.06.12
  • 페이스북 ‘좋아요’에 대한 비난, 슬랙티비즘을 바라보는 시선들

    2014.06.12
  • 이젠 신문 섹션도 개성시대

    2014.06.11
  • 삼청동 숲속에서 반겨주는 작은 도서관 ‘삼청공원 숲속도서관’

    2014.06.11
  • 생각을 낳는 보물을 자연스럽게 만나는 방법

    2014.06.10
한 국가에서 여러 팀이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다?

출처_ pixabay by Nemo★ 세계의 축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두 열광하면서 지켜보는 축제가 찾아왔습니다. 바로 4년마다 한 번씩 찾아오는 월드컵인데요. 축구를 좋아하지 않아도 이때만큼은 다 함께 목청껏 “대~ 한민국!”이라는 응원을 외치며 우리 선수들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2002년의 짜릿했던 추억도 지금의 응원을 더욱 뜨겁게 만들죠. 이렇게 월드컵 시즌이 되면 여러 가지 풀리지 않는 월드컵에 관한 의문들이 많아집니다. ‘월드컵 라이벌은 어떻게 생긴 걸까?’, ‘한 국가에서 여러 팀이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을까?’ 등 다양한 의문이 생깁니다. 오늘은 2014 브라질 월드컵을 맞이해서 월드컵의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지난 월드컵을 보던 어느 날, 함께 맥주를 마시던 지인이 갑자..

2014. 6. 13. 09:02
사실과 주관 사이, 역사는 과연 진실일까?

이미지 출처_ pixabay by PublicDomainPictures 비단 사학도뿐만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에드워드 카의 는 과거라는 거울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지 명쾌하게 조언해주는 명저입니다. 역사 기술이 ‘사실’이라는 생각으로 책을 접해온 20세기 많은 유럽인에게 상당한 충격을 선사한 이 책은 우리가 아는 역사가 과연 진실인지 되짚어볼 기회를 마련해주죠. 역사적 진실이 과연 존재할 수 있는지, 어쩌면 시대상을 작가 또는 역사가 자신만의 프레임 속에서 그려낸 일종의 ‘풍경화’가 아닌지는, 같은 시대 혹은 동일 인물을 그려낸 역사서와 야사, 소설 및 평설 간 많은 충돌을 통해 아주 잘 드러나곤 합니다. 별다른 설명이 필요 없는 명작 는 역사를 배경으로 한 방대한 스케일과 살아 숨 쉬는 듯한 매..

2014. 6. 12. 11:04
페이스북 ‘좋아요’에 대한 비난, 슬랙티비즘을 바라보는 시선들

하루에도 몇 번씩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스북에는 이러한 글들이 자주 올라옵니다. 대부분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거나 특정 사회문제 해결을 호소하는 그런 캠페인 글들이죠. 여러분들도 한번쯤은 이런 호소에 좋아요를 눌러봤거나 댓글을 통해 뜨거운 논쟁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여론 환기라는 긍정적 측면을 볼 수 있는 SNS의 이런 캠페인을 보면서 여러분은 그 결과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셨나요?  SNS의 특징은 내가 관심을 갖고 알리는 특정 사안이 인터넷이라는 바다를 항해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특히 유명인의 경우에는 그 파급력이 더 큰데요. 그렇기 때문에 기업 혹은 기관의 사회공헌활동이나 각종 이슈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있어 SNS의 영향력은 점차 높아지고 많은 사람들이 이에 의존해..

2014. 6. 12. 09:02
이젠 신문 섹션도 개성시대

이미지 출처_ 위키백과 지면 신문을 보면 일반 기사를 모은 메인 신문과 함께 따로 편성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된 섹션이 함께 옵니다. 일반 기사들처럼 딱딱하지도 않고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분야를 특별하게 따로 모아 구성하기 때문에 일부러 섹션을 보기 위해 신문을 사는 사람도 생겼죠. 그만큼 신문 속 섹션은 다양한 분야와 형태로 사람들에게 찾아갑니다. 이제 신문 섹션도 자신만의 색깔로 당당하게 독자를 만나는 개성시대가 열렸다고 볼 수 있죠. 오늘은 그런 신문 섹션 중에서 독특한 개성으로 독자를 사로잡는 섹션을 모아봤습니다. 중앙일보에서는 2013년 2월부터 새로운 형태의 섹션을 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江南通新(강남통신)’인데요. 특이하게 섹션의 제목을 한자로 표기하고 표지 또한 특별하게 제작되어 기..

2014. 6. 11. 11:02
삼청동 숲속에서 반겨주는 작은 도서관 ‘삼청공원 숲속도서관’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놀라움을 느끼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서울 도심의 중심을 둘러싼 산이 있어 도시 한가운데에서도 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인데요. 종로구의 상징인 북악산을 중심으로 자연과 우리나라 고유의 멋을 살린 아름다운 공간이 있어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모여들고 있습니다. 외국인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의 내국인들과 서울 시민들도 즐겨 찾는 곳 중 하나인 삼청동은 다른 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고즈넉한 멋과 전통의 맛이 살아있습니다. 사진기를 하나 들고 이곳 삼청동을 찾아 골목 곳곳을 누비던 중 때이른 무더위를 잠시 식혀줄 반가운 공간을 만났는데요. 카페처럼 생긴 외관이지만 그곳은 단순한 카페가 아닌 책이 가득한 도서관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산 중간에서 만난 도서관이기에 더욱 특별했는데요...

2014. 6. 11. 09:02
생각을 낳는 보물을 자연스럽게 만나는 방법

이미지 출처_ 위키백과 책을 읽는 건 누구에게나 도움이 되고 훌륭한 소일거리 중의 하나이지만 가장 위험한 것은 인생에 있어 딱 한 권의 책을 읽은 사람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누군가에게 쓰레기 같은 책이라는 소리를 듣더라도 누군가는 그 책으로 인생을 변화하게 할 힘을 가진 것이 책이죠. 이처럼 책은 누구에게나 구체적으로 손으로 잡히지 않고 알 수 없는 무엇인가를 던져주지만, 딱 한 권의 책만 읽고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해 투영하게 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A는 B가 될 수도 있고, C가 될 수도 있고, D 또는 E 등으로 다양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을 통해 A는 B라는 것만 알게 된 사람은 세상을 편협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어 차라리 책을 안 읽은 사람만도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2014. 6. 10. 13:27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