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251)
-
[웹진 다시보기]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책 소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 실용성, 현장 활용성 갖춘 MIL 훈련 교재 임영호 (부산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최근 몇 년 새 ‘가짜뉴스’ 문제는 전 세계적 현안이 됐다. 더불어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도 급부상하며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단체에서는 관련 연구를 거듭해 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2021년 말 공동으로 번역, 출간한 《저널리즘과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언론인과 저널리즘 교육자를 위한 핸드북》을 소개한다. 안내서는 전통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변화된 환경에 맞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로 확장해서 새롭게 규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비판적 이해와 구사를 넘어 새로운 IT ..
2022.06.10 -
교사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직무연수과정 개설!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중·고등학교 교사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직무연수과정을 개설했습니다! 디지털 유목민이라고 불리며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 아동 및 청소년이 정보통신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동시에 보호받으며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우리 학교 선생님들의 노력도 필요합니다.1) 하지만 미디어, 소셜미디어, 플랫폼, 인포데믹, 뉴스, 디지털 시민성 등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으로 선생님들도 혼란스럽기 마련인데요, 이에 미디어교육 온라인 교사연수를 준비하였습니다! 학계·언론계·언론중재위 출신 미디어 교육 전문가와 현직교사의 미디어 교육 현장 이야기를 통해 미디어리터러시수업 설..
2022.06.09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 가자 닷컴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미디어와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사이트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가자닷컴 신민철 (대구 진월초 교사) 코로나19로 인하여 전국의 학교 현장이 문을 닫았을 때,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온라인 학습 사이트, “학교가자닷컴”을 만들었습니다. 학교가자닷컴은 2020년 구글이 선정한 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유네스코 교육 정책 세미나에서 한국 대표 사례로 소개되었습니다. 학교가자닷컴은영상 콘텐츠들을 활용하여 원격수업과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학습 꾸러미를 만들고 링크를 통해 누구나 접속하여 학습꾸러미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며, 유튜브 라이브를 활용해 학생들을 위한 실시간 진로 특강과 수업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등교 개학이 시작되고 나서도..
2022.06.07 -
미디어교육 운영학교(3차) 모집
우리 청소년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주도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뉴스 리터러시(News Literacy) 및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능력 향상을 통해 뉴스와 미디어에 분별 있게 접근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학교 미디어교육 활성화 및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해 미디어교육 운영학교(3차) 지원 사업을 실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지원대상 전국 유·초‧중‧고등학교 - 기본교과와 창의적 체험 활동 등 정규 교과과정에 미디어교육 수업을 편성해 강의 가능한 학교 - 미디어교육 관련 수업 주제를 지정해 지속적으로 운영하려는 학교 ※ , , 선정학교는 중복지원..
2022.06.03 -
[웹진 다시보기]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유럽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이수정 (서울대 강사/교육학 박사) 미래 디지털 사회의 주체가 될 아동과 청소년이 어떻게 하면 인터넷에서 마주할 위험과 기회를 포착하고 잘 대처할 수 있을지를 주제로 한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이 3일에 걸쳐 개최됐다. 그중 우르스 가서 교수의 미래 청소년 온라인 정책을 기획하기 위한 세 가지 원칙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증거와 학습에 기반한 정책’이다. 늘 증거를 수집하는 데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되며, 올바른 질문을 하고 해답을 찾는 연구적 성격을 띠어야 하며, 긴 호흡으로 청소년을 바라볼 수 있는 종단적인 시선 또한 필요하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청소년..
2022.05.27 -
5월의 추천도서 – 잘 봐 놓고 딴소리
책 『잘 봐 놓고 딴소리』는 새삼스러운 질문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여러분은 TV 보는 법을 따로 배운 적이 있나요? 저자는 TV, 유튜브, 인터넷 콘텐츠 등과 같은 미디어들은 우리의 세계관을 빚어내는 ‘세계의 창’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잘 봐 놓고 딴소리』는 청소년과 청년 독자들이 ‘세계의 창’을 어떻게 슬기롭게 이용할 수 있을지, 그 창 너머로 제대로 된 세계와 만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미디어 환경에 노출되면서 자연스럽게 미디어가 우리의 일상이 되었습니다. 이에 수 많은 미디어 속에서 정보를 단순히 보고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책을 통해 정보를 올바르게 분별하고 수용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출..
202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