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기자 스마트폰 신문 미디어교육 이벤트 책 공모전 독서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교육(252)

  •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2021.01.18
  • 정보 공유·합의로 한국적 미디어교육 모형 마련부터

    2021.01.14
  • 미디어교육, 햇살처럼 어디에나 퍼져 나가길

    2021.01.11
  • [미리미리 8탄] 우리가족 미디어 사용보고서

    2020.12.08
  • 청년세대의 희망 품기! 언론인권센터 '청년 미디어 인권 교육'

    2020.12.02
  • [미리미리 6탄] 게임 리터러시! 올바른 게임 이용법

    2020.12.01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제작 역량만 강조, ‘비판적 이해’ 교육은 부족 국내 미디어 업계의 미디어교육 참여 현황 및 과제 2020년은 예고도 없이 비대면 원격 교육이 갑자기 시작되면서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한 해였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와 해외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긴급 점검해보고, 특히 미디어 업계의 교육 참여 정도를 비교해보는 자리를 준비했다. 글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미디어 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미디어와 관련된 기관이나 단체 그리고 기업은 건전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것과 더불어 미디어 이용자를 위한 보편적 미디어교육에 대한 책임이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가장 큰 특징이 여러 유형의 공공 자산을 사용해 발생하는 ‘공공재’이거나 혹은 ‘공공재적인’ 성격을..

2021. 1. 18. 16:07
정보 공유·합의로 한국적 미디어교육 모형 마련부터

정보 공유·합의로 한국적 미디어교육 모형 마련부터 미디어 업계의 적극적 참여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에서도 미디어교육 또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교육 주체는 대부분 지방 자치 단체나 정부 유관 기관이다. 미디어교육에 다수의 신문, 방송사가 참여하는 외국 사례와 비교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미디어 업계도 적극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글 권장원 (대구가톨릭대 언론광고학부 교수)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미디어 업계에서 추진 중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현황과 관련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 축적해 공감대를 넓히면서 동시에 각 교육 주체들은 각자 위치에서 차별화된 정체성을 추구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미디어 홍수 시대이다. ..

2021. 1. 14. 16:32
미디어교육, 햇살처럼 어디에나 퍼져 나가길

미디어교육, 햇살처럼 어디에나 퍼져 나가길 ‘2020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현장 스케치 매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최하는 ‘미디어교육 전국대회’가 2020년에는 더욱 특별해졌다. 2020년 10월 21일부터 닷새 동안 진행된 이라는 더 큰 틀 속에 열리며 의미와 규모가 더 풍성해진 이번 ‘미디어교육 전국대회’의 요모조모를 소개한다. 글 전혜진 (편집부) 박소라 교수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학교 교육과 젊은 세대에만 중점을 두고, 대중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허위정보 확산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는데, 시민들은 스스로 학습하도록 방치됐다는 의미다. 미디어 패러다임이 달라졌다. 뉴미디어 시대 상호 연결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정보의 생산과 수요에 참여한다. 특히 ..

2021. 1. 11. 17:16
[미리미리 8탄] 우리가족 미디어 사용보고서

우리 아이의 무분별한 미디어 노출이 걱정이 된다면? 전문가의 솔루션으로 아이의 미디어 사용 교육 함께 해봐요!

2020. 12. 8. 16:13
청년세대의 희망 품기! 언론인권센터 '청년 미디어 인권 교육'

“청년 기자의 변화 노력에서 희망을 보았어요” 언론인권센터 ‘청년 미디어 인권 교육’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7월 이라는 새로운 교육을 선보였다. 비록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소규모로 진행된 강의였지만 미디어 종사자의 인권 인식을 비롯해 디지털 시대에 부각하고 있는 다양한 인권 이슈를 본격적으로 다룬 의미 있는 교육이었다. 글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 디지털 환경에서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범람하며 시민들에게 미디어 인권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도 언론인에 대한 인권 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했습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언론인권센터는 ‘미디어 인권’을 중심으로 교육을 재정비하게 됐습니다. 언론인권센터는 2006년부터 이라는 타이틀로 미디어 및 인권에 대한 시민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2020. 12. 2. 13:59
[미리미리 6탄] 게임 리터러시! 올바른 게임 이용법

www.youtube.com/watch?v=Ag-f-0Nio6Y 미리미리 게임상담소 OPEN! 올바른 게임 이용은 건강한 취미가 될 수 있다는데? 게임 업계 개발자, 기획자, 마케터가 한 자리에 모여 게임에 대한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 :) 모두 영상을 시청하고 게임 리터러시 LEVEL UP ✌ *영상과 무관한 내용, 도배, 외모비하, 욕설 등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게임리터러시 #미리미리 #게임교육

2020. 12. 1. 20:51
1 ··· 27 28 29 30 31 32 33 ··· 4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