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252)
-
‘테크노스트레스’ 관리도 미디어 리터러시
핀란드 미디어교육 콘퍼런스 ‘MEC 2019’ ‘MEC(Media Education Conference)’는 2년마다 열리는 미디어교육 콘퍼런스로 주최측인 핀란드를 비롯해 각국에서 현재 실행 중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글로벌 토론의 장이다. 4월에 개최된 MEC 2019의 현장 모습을 전달한다. 글 최원석 (핀란드 라플란드대 미디어교육학 석사 과정) 지난 4월 24~26일 세계 각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자들이 핀란드의 한 외딴 마을에 모였다. 미디어교육 콘퍼런스인 MEC 2019(Media Education Conference)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MEC는 핀란드 라플란드대학 산하 미디어교육학센터가 주관하는 콘퍼런스로, 2005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 올해 콘퍼런스에..
2019.07.22 -
‘표현의 자유’ 아닌 이유 가르치고 ‘대항표현’ 알려야
혐오표현 대응 가이드라인(안)과 미디어교육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고 확산되는 혐오표현은 빠르고 지속적이라는 점에서 특히 더 유해하다. 따라서 미디어교육에서는 미디어와 언론의 전파력과 파급력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혐오표현의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겠다. 글 이은진 (서울 발산초 교사) “여러분, 여가 시간에 주로 뭐해요?” “유튜브 봐요!” 학생들이 한 목소리로 대답한다. 스마트폰이 있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여가 시간의 활용으로 유튜브 시청을 제일 먼저 꼽았다. “그러면 유튜브에서 여러분이 주로 보는 것들은 무엇인가요?” 아이들이 갑자기 입을 다물고, 대답을 꺼려 한다. 서로 눈치만 보던 중, 한 아이가 용기 내어 대답한다. “선생님, 모르는 게 나아요. 알면 귀 썩어요!” 아이들이 와르르 웃음을 터뜨..
2019.07.05 -
정보왜곡방지법 제정, ‘허위정보 관련 교육’ 명문화
허위정보에 대응하는 해외 미디어교육-프랑스 프랑스에서도 허위정보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지면서 지난해 연말 ‘정보 왜곡 방지에 관한 법률’이 발효됐다. 이 법에서 눈에 띄는 내용은 교육법 안에 허위정보에 관한 미디어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최지선 (파리 2대학 박사) 프랑스에서는 지난 2017년 대선을 전후로 사회 전반에서 본격적으로 허위정보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로로 허위정보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올바른 정보를 가진 시민(informed citizen)들이 정보를 바탕으로 민주적 선택을 한다는 민주주의의 기본 작동 방식이 훼손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허위정보 근절을 위한 법률 제정 위기감은 허위정..
2019.07.04 -
뉴스 보며 토론하는 유치원생들, 정말 가능할까?
유아교육과 뉴스 리터러시-유치원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미디어교육 선진국에서는 유아부터 성인까지 전 생애에 걸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하다.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생소한 국내에서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연구 지원을 받은 최초의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사례 연구가 실시됐다. 주봉관신구대 유아교육과 교수·부속유치원장 초등학교 시절 어린이신문의 기자 활동을 했던 기억이 난다. 편집국장님께 신문의 중요성과 기자의 역할 등에 대해 배우며 기자를 꿈꾸기도 하고, 집에 신문이 배달돼 오면 TV편성표만 보던 내가 이곳저곳 신문의 여러 면을 살펴보는데 재미가 들렸던 기억들. 이러한 신문에 대한 어린 시절의 경험들은 성인이 된 지금까지 아침에 일어나 뉴스부터 찾는 자연스러운 일상이자 습관이 되어버렸다. 전 생애..
2019.04.04 -
학생의 능동적 참여로 이뤄지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
고등학생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뉴스, 제대로 알고 즐기기』 소개 고등학생은 성인이 되는 문턱에 와 있습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거쳐 오며 섭렵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성인이 될 준비를 마치는 시기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미디어교육은 곧 성인이 될 고등학생에게는 너무나 부족합니다. 『뉴스, 제대로 알고 즐기기』는 기존의 신문활동 교육을 뛰어넘어,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다가가기 위해 구성되었습니다. NIE? NIE! 뉴스 리터러시!! NIE 교육도 미디어 이용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롭게 변화했습니다. 신문 활용 교육(Newspaper In Education)에서 종이라는 'paper'를 뺀 뉴스활용교육(News In Education)'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뉴스 및 미디어는 특정 교육..
2019.03.26 -
미디어교육, 초등학생도 한 걸음부터
초등학생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세상을 바라보는 창, 뉴스로 열어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어린 시절부터 미디어를 접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재를 펴내 학생과 교사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미디어는 전례가 없는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미디어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정보의 생산과 수용이 그 어느 때보다도 더욱 많아졌습니다. 특히 다양한 미디어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미디어 생산의 문턱이 크게 낮아졌는데요. 예전과는 달리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이런 시대적 ..
201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