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이벤트 NIE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공모전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다독다독 기자 신문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울림을 주는 텍스트, 나의 강력한 재산이자 스승

    2012.05.15
  • 이윤석은 국민약골? 알고 보니 국민독서광!

    2012.05.09
  • 비판적으로 신문읽기, 낚시성 기사는 이제 그만~

    2012.04.27
  • 기업의 성장 동력, ‘사내 독서 스터디’

    2012.04.24
  • 대학생 NIE 교육으로 학습효과 '쑥쑥', 이슈분석도 '너끈'

    2012.04.12
  • 기자되기 첫 걸음은 멋진 기사작성부터!

    2012.03.29
울림을 주는 텍스트, 나의 강력한 재산이자 스승

명사와 소통하며 그들의 독서담, 감동의 스토리를 들어보는 ‘명사 릴레이 특강 리더스 콘서트’ 지난 포스팅(http://www.dadoc.or.kr/461)에서는 ‘생각이 에너지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등 우리에게 익숙한 광고 문구로 이른바 ‘대박’을 친 우리나라 최고의 광고카피라이터 박웅현씨가 말하는 좋은 글을 감지하는 ‘예민한 촉수’ 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봤는데요. 오늘은 그 날 행사의 뒷이야기를 함께 나눠볼까 합니다.^^ 박웅현 씨는 “나에게 울림을 준 텍스트는 다 보관하는데 이것이 가장 강력한 재산”이라며 “이 자리에 온 이들에게 한마디 하자면, 촉수를 민감하게 하기 위해서 텍스트를 읽으십시오!”라며 다독(多讀)의 중요성을 거듭 언급했어요. 1부가 끝날 무렵 청중에게 공개한 박웅현 씨의 공..

2012. 5. 15. 14:54
이윤석은 국민약골? 알고 보니 국민독서광!

2012 리더스 콘서트가 시작됐습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많은 청중이 서울 경희대 청운관에 운집했는데요. ‘나와 세상을 바꾸는 읽기의 즐거움’을 전할 첫 강연자는 이름만 들어도 웃음이 절로 나오는 개그맨 겸 교수 이윤석씨 입니다. 이윤석 씨는 개그맨, 대학 교수, 작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데요. 오늘 특강에서는 ‘책과 연애하기’라는 주제로 두 시간 동안 재밌는 소통의 시간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책 읽기는? ‘지름신’ 내리도록, ‘회전초밥’ 먹듯이, ‘카드 돌려막기’ 이윤석 교수는 재미있는 문구로 자신의 책 읽는 법을 소개해줬는데요. 새 문구마다 청중의 웃음이 그치지 않았습니다. 1. ‘지름신 강림’ 이 교수는 책의 제목이나 지은이가 마음에 들거나, 매력 있다고 생각되는 책은 무조건 산다고 했습니다...

2012. 5. 9. 14:05
비판적으로 신문읽기, 낚시성 기사는 이제 그만~

지난 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문을 열심히 읽은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더 높다고 합니다. 또한 청소년기에 신문활용교육(NIE)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응답자보다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높다는 결론도 나왔습니다. 즉 미디어 내용이 목적에 의해 구성된 결과물이라는 인식, 미디어가 특정 집단, 직업을 편견적으로 묘사할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고 하네요. 신문을 볼 때 “비판적 사고를 하면서 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비판적 사고란 “객관적 증거에 비추어 사태를 비교·검토하고 인과관계를 명백히 하여 여기서 얻어진 판단에 따라 결론을 맺거나 행동하는 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조..

2012. 4. 27. 17:51
기업의 성장 동력, ‘사내 독서 스터디’

최근 많은 벤처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젊은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창업한 전문가들은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만으로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며 독서를 통해 지식을 쌓고, 쌓인 지식을 토대로 통찰력을 키우는 일이야 말로 전문성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오늘 다독다독에서는 1인 기업으로 시작하여 SNS전문 마케팅 회사로 거듭난 젊은 벤처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기업의 남다른 독서문화를 알아봤습니다. 젊은 대학생들이 모여 시작한 이 기업은 설립 이전부터 마케팅 관련분야의 지식을 쌓고, 트렌드를 놓치지 않기 위해 누구보다 많은 독서를 했다는데요. 이러한 영향 때문인지 현재도 많은 직원들이 회사 내에서 꾸준히 독서와 스터디를 진행..

2012. 4. 24. 14:16
대학생 NIE 교육으로 학습효과 '쑥쑥', 이슈분석도 '너끈'

“처음에는 신문을 읽어야 한다는 것이 큰 부담으로 다가왔는데, 시간이 지나며 점점 재미있는 정보를 많이 찾을 수 있고 부담감도 없어졌다. 사회의 이슈를 잘 파악하게 되었고 다른 공부를 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되었다. 확실히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을 때보다 신문을 읽음으로써 더 많은 자세한 정보를 얻었다.” “신문 매체보다는 인터넷 매체를 통해서 뉴스를 볼 때가 많았는데, 이번 강의를 들으며 다양한 신문을 읽고 이슈를 분석하여 글을 써보았다. 수강 전보다 사회적인 이슈를 여러 시각으로 분석하고 대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신문읽기 지원사업으로 진행한 수업에서 가장 먼저 느낀 점은 역시 요즘 대학생이 신문에 대해 갖는 거리감이었다. 이는 생각보다 훨씬 심각했다. 학생들은 종이 신..

2012. 4. 12. 21:07
기자되기 첫 걸음은 멋진 기사작성부터!

여러분~ 좋은 신문기사가 갖춰야할 조건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기사 쓰기가 중요한 이유는 아무리 취재를 잘 해도 좋은 기사로 드러내지 않으면 그 내용이 독자나 시청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잘못 쓴 기사는 잘된 취재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도 있죠. 취재도 어렵지만 기사 작성도 결코 쉽지 않기에 평생 기사 쓰는 일만 해온 직업기자에게도 기사작성은 늘 어려운 일이라죠. 그래서 오늘은 좋은 신문기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조건 및 기사작성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볼까 합니다. 가장 먼저, 신문에 게재되는 뉴스는 기사라는 일정한 요건을 갖추어 작성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어떤 사건에 관해 누군가가 기록하거나 서술하더라도 기사로서의 요건에 미달되면 기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런 문장은 정부 보..

2012. 3. 29. 14:05
1 ··· 269 270 271 272 273 274 275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