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1)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이벤트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뉴스 다독다독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공모전 NIE 스마트폰 책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독서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교육(252)

  • [웹진 다시보기] 책 소개-‘미래를 여는 미디어 교과서’

    2022.09.19
  • 틱톡을 활용한 동영상 뉴스 콘텐츠!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통해 올바르게 이용해요

    2022.09.19
  •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의 디지털 문해력에 대한 인식

    2022.09.07
  • [웹진 다시보기]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의 만남!일상 속 뉴스로 소통하다

    2022.09.02
  • 8월의 추천 영화 – 소셜 딜레마

    2022.08.31
  •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2022.08.30
[웹진 다시보기] 책 소개-‘미래를 여는 미디어 교과서’

초등학생을 위한 미디어 생활의 길잡이! 책 소개-‘미래를 여는 미디어 교과서’ 김희동(서울교대 강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0년 고등학교용 교과서를 시작으로 2021년 중학교용 , 올해 초등학교용 를 잇따라 개발하며, 학교 미디어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기획하고, 초등 교사 5인이 집필한 (창비)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은 초보적인 기능조차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인 의사소통이나 표현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 세상에서 온전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필수 역량이기 때문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미디어교육이 필요하다. 는 최초의 초등학생용..

2022. 9. 19. 15:32
틱톡을 활용한 동영상 뉴스 콘텐츠!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통해 올바르게 이용해요

틱톡을 활용한 동영상 뉴스 콘텐츠!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통해 올바르게 이용해요 틱톡은 세로가 긴 형태의 스마트폰 스크린을 그대로 반영한 영상을 직접 촬영한 뒤에 다양한 배경음악, 특수효과를 활용하여 15초 가량의 짧은 동영상을 손쉽게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처럼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형태로 이용자가 제작한 동영상은 틱톡의 머신러닝 기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다른 이용자들과 공유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재미있고 편리한 기능으로 젊은 세대들에게 큰 인기를 얻으며, 이용자 수와 다운로드 수에서 기록적인 성장을 이뤘습니다. 실제 2021년 연간 이용자 수는 9억 2백만 명, 누적 다운로드 수는 25억 6천만을 기록했습니다. 틱톡이 대체로 엔터테인먼트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국내..

2022. 9. 19. 10:52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미디어 리터러시] 청소년의 디지털 문해력에 대한 인식

한국 청소년의 디지털 문해력이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태어나서부터 바로 고도화된 디지털 기술을 접하고 있습니다. 실제 KISDI STAT Report의 ‘알파 세대의 등장과 미디어 이용행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알파 세대(’21년 만 8~11세)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89.9%로 동 연령대의 Z세대(’17년 기준 만 8~11세)가 80.8%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디지털 콘텐츠 (교육 동영상, 온라인 뉴스/잡지/E-book, 음악 등)를 이용한 경험은 68.6%로 4.3%를 보인 Z세대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OECD가 발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1세기 독자: 디지털 ..

2022. 9. 7. 11:44
[웹진 다시보기]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의 만남!일상 속 뉴스로 소통하다

제3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개최기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의 만남! 일상 속 뉴스로 소통하다 이영균(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뉴스일기를 통해 어렵게만 느껴졌던 사회·정치·경제 분야 기사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고, 세상과 더 가깝게 연결될 수 있었다.” 지난 7월 8일에 열린 에서 전해진 말이다. 가장 공적인 미디어와 가장 사적인 일기장이 공존하는 ! 의 열기 속으로 함께 떠나보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을 개최하여 국민들에게 분별력 있는 뉴스 이용과 책임 있는 활용,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뉴스일기란 ‘뉴스읽기를 실천하는 뉴스일기장’으로 일상에서 뉴스를 접한 뒤 느낀 생각이나 감정을 자유로운 형식으로 작성하는 일기를 말한다. 이 공모전은 남녀노소 누구나 ..

2022. 9. 2. 11:29
8월의 추천 영화 – 소셜 딜레마

영화 「소셜 딜레마」는 소셜 미디어가 인류에게 미친 영향과 그 뒤에 숨은 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흔히 구글은 검색창이고 페이스북은 친구들이 뭐 하는지 보는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의 심리를 역이용하고, 관심사와 정보를 통제하고, 가짜 뉴스를 빠르게 퍼뜨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SNS 기업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알고리즘은 소셜 미디어 중독을 일으키고, 정신건강을 위협하고, 사회적 분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가짜 뉴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규제와 SNS 기업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가 지배하는 세상 속에서 가짜 뉴스를 판별하고 비판적으로 SNS를 사용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의심과 판별할 수 있는..

2022. 8. 31. 15:29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미디어 없는 리터러시 교육 무의미 공동 커리큘럼 등 협업 필요 특별 대담: 효과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위한 ‘언론학자-교육학자’ 상호 작용 지난 4월 12일, 작지만 매우 뜻 깊은 행사가 열렸다. 웹진 발간 20호를 기념해 미디어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해 활발하게 활동 중인 언론학자와 교육학자 4인이 참석한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언론학자와 교육학자는 어떻게 상호 작용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특별 대담이 진행됐다. 대담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송은아 (계간 , 자유기고가) 미디어학에서는 미디어 전반에 대한 이해는 있지만 미디어 리터러시에 어떻게 접목시켜야 되는지도 모르고, 학습자, 교육 프로그램, 교수법에 대한 이해가 없다. 이 부분이 가장 접목이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한다..

2022. 8. 30. 14:50
1 ··· 10 11 12 13 14 15 16 ··· 4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